최근 정부가 휴일근로를 연장근로시간 산정에 포함하는 방향으로 법 개정 방침을 밝힌 것에 대해 절반 이상의 중소업체들은 반대 의견을 갖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200개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55.6%가 ‘반대한다’는 응답을 했다고 15일 밝혔다.
39.4%는 ‘단계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찬성한다’는 의견은 2.8%에 그쳤다.
제도 도입에 반대하는 이유로는 46.1%가 ‘근로시간 단축으로 신규인력을 뽑아야 하지만 중소기업 기피 현상으로 채용이 어렵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는 ‘임금 감소에 따른 근로자들의 반발’(28.5%), ‘생산 차질에 따른 수익 감소’(22.8%) 등의 순이었다.
휴일근로를 금지하면 신규채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질문에는 ‘변화 없음’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51.0%로 가장 많았다.
’증가할 것’이라는 답변은 35.7%,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은 11.9%를 차지했다.
응답업체 중 휴일근로를 실시하는 업체는 68%로 집계됐다.
실시 이유로는 ‘주문량을 소화하기 위해 불가피’(53.5%), ‘절대인력의 부족’(18.1%), ‘근로자가 원하기 때문’(11.0%) 등의 답변이 나왔다.
중앙회 정인호 인력정책실장은 “제도의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인위적인 근로시간 단축의 부작용은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심할 것으로 보인다”며 “충분한 준비기간을 두고 보완 작업을 거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200개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55.6%가 ‘반대한다’는 응답을 했다고 15일 밝혔다.
39.4%는 ‘단계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찬성한다’는 의견은 2.8%에 그쳤다.
제도 도입에 반대하는 이유로는 46.1%가 ‘근로시간 단축으로 신규인력을 뽑아야 하지만 중소기업 기피 현상으로 채용이 어렵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는 ‘임금 감소에 따른 근로자들의 반발’(28.5%), ‘생산 차질에 따른 수익 감소’(22.8%) 등의 순이었다.
휴일근로를 금지하면 신규채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질문에는 ‘변화 없음’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51.0%로 가장 많았다.
’증가할 것’이라는 답변은 35.7%,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은 11.9%를 차지했다.
응답업체 중 휴일근로를 실시하는 업체는 68%로 집계됐다.
실시 이유로는 ‘주문량을 소화하기 위해 불가피’(53.5%), ‘절대인력의 부족’(18.1%), ‘근로자가 원하기 때문’(11.0%) 등의 답변이 나왔다.
중앙회 정인호 인력정책실장은 “제도의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인위적인 근로시간 단축의 부작용은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심할 것으로 보인다”며 “충분한 준비기간을 두고 보완 작업을 거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