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부족률 12.7%로 최고… 中동포 방문취업 감소 원인
산업 현장의 외국인 근로자 부족 현상이 영세업체들을 중심으로 심화되고 있다.9일 한국고용정보원의 보고서 ‘외국인 고용 현황과 시사점’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 기업 전체의 외국인 인력 부족률은 8.7%로 최근 3년간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1년과 2012년에는 각각 7.9%, 8.0%였다.
사업장 크기별로 5명 이상 10명 미만 사업장의 외국인 인력부족률이 12.7%로 가장 높았다. 10~29명 사업장은 9.1%, 30~99명 8.2%, 100~299명 4.6%, 300명 이상 1.0% 등이었다. 인력부족률은 현재인원 수와 사업주가 부족하다고 응답한 인원(부족인원) 수를 더한 총원 중에서 부족한 인원의 비율이다.
특히 10명 미만 사업장은 내국인 인력 부족률도 4.2%로 중소기업, 대기업보다 높았다. 외국인 근로자 감소로 내국인 인력 수급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금재호 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그동안은 중국 동포들의 방문 취업이 많았는데 중국의 발전으로 대도시에 일자리가 많아 한국행 수요가 줄었다”면서 “동남아 단순 노동인력도 정부가 고급인력 수입 정책을 쓰면서 줄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3-12-1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