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효율성 위해 회장·행장 분리”

이론과 실무를 모두 겸비했다는 점은 지 전 부사장의 장점이다. 한국금융연구원 출신으로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딴 재무관리 박사학위를 갖고 있어 금융계에서는 ‘지 박사’로 통한다. 조흥은행 부행장, LG카드 부사장, KB금융 전략담당 부사장을 지냈다. 2008년 KB를 떠난 그를 2010년 어윤대 전 회장이 KB카드 분사 과정에서 불러들였다.
지 전 부사장은 21일 “금융기관 경영 이론에 대해 국내에서 나만큼 많이 알고 있는 사람도 없을 것”이라면서 은행업 실무 경험이 부족하다는 약점에 대해서도 “(4명의 후보 중) 하영구 행장을 제외하고는 은행 실무(국민은행 경제연구소장) 경험이 가장 길다”고 강조했다.
KB회장 취임 이후 경영 목표로는 ‘고객 신뢰회복’을 꼽았다. 그는 “국민은행 고객 2600만명에게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해 신뢰받는 금융그룹이 되겠다”면서 “‘금융은 과학이다’라는 슬로건을 내걸어 정확한 통계분석에 근거한 금융서비스를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영 효율성을 위해 회장과 행장직은 분리하는 것이 맞다”고 밝힌 지 전 부사장은 “행원으로 입행해 30년 넘게 은행에서 경험을 쌓은 내부 출신을 행장으로 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건호 전 행장과 같은 금융연구원 출신으로 ‘연피아’(연구원+마피아)라는 꼬리표는 부담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이에 대해 지 전 부사장은 “마지막 이력이 국민카드 부사장이고 연구원 출신이 대단한 권력을 갖고 있는 게 아니다”며 “연피아라는 것은 실체가 없다”고 반박했다.
KB의 고질적인 줄서기 문화, 채널 갈등과 관련, 지 전 부사장은 “수장이 절대권력을 행사하는 곳에서는 그런 일이 벌어진다”면서 “각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에게 권한을 모두 넘겨줄 것”이라는 해법을 제시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4-10-2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