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여성은 남성보다 더 많은 노후 준비가 필요하지만, 실제 노후 준비는 부족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는 25일 ‘여성의 노후 준비가 특별한 이유’라는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여성은 남성보다 장수·의료비·노동시장 리스크가 더 커 노후 준비에 불리한 위치에 있다”고 밝혔다.
은퇴연구소는 장수 리스크와 관련해 “2013년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65세인 남성의 기대여명은 18년이지만, 여성은 22.4년으로 4.4년 더 길다”고 설명했다.
이어 “65세 이후 기대여명까지 1인당 월평균 100만원의 생활비가 필요하다고 하면 남성의 노후 생활자금은 2억1천600만원인데 비해 여성은 2억6천880만원으로, 여성이 5천만원 이상 생활자금이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2013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조사에 따르면 여성의 평생 의료비는 1억2천322만원으로 남성(1억177만원)보다 많고, 특히 65세 이후 지출 의료비는 1천700만원이 더 많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기본 생활비와 의료비만 고려한 기초 필요자금은 65세 이후의 여성이 남성보다 약 7천만원 더 필요하다고 연구소는 덧붙였다.
연구소는 이에 반해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1.3%로 남성(73.2%)보다 낮고, 소득수준도 낮다”며 여성의 노동시장 리스크도 언급했다.
아울러 “여성의 평균 수명이 길 뿐 아니라 결혼을 하지 않는 비혼이나 이혼이 증가하고, 부모에 대한 부양의식이 약화되면서 여성 스스로 노후생활을 꾸려가야 하는 싱글 리스크가 있다”고 덧붙였다.
은퇴연구소는 “여성은 좀 더 적극적으로 본인의 노후에 대비해야 한다”며 “홀로 노후를 보낼 기간에 필요한 노후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부부의 경우 공적·사적 연금 수령 방식을 종신부부형으로 바꾸는 등 수령 기간을 길게 잡고, 여성 본인 명의의 연금을 별도로 가입해 두는 것이 좋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는 25일 ‘여성의 노후 준비가 특별한 이유’라는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여성은 남성보다 장수·의료비·노동시장 리스크가 더 커 노후 준비에 불리한 위치에 있다”고 밝혔다.
은퇴연구소는 장수 리스크와 관련해 “2013년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65세인 남성의 기대여명은 18년이지만, 여성은 22.4년으로 4.4년 더 길다”고 설명했다.
이어 “65세 이후 기대여명까지 1인당 월평균 100만원의 생활비가 필요하다고 하면 남성의 노후 생활자금은 2억1천600만원인데 비해 여성은 2억6천880만원으로, 여성이 5천만원 이상 생활자금이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2013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조사에 따르면 여성의 평생 의료비는 1억2천322만원으로 남성(1억177만원)보다 많고, 특히 65세 이후 지출 의료비는 1천700만원이 더 많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기본 생활비와 의료비만 고려한 기초 필요자금은 65세 이후의 여성이 남성보다 약 7천만원 더 필요하다고 연구소는 덧붙였다.
연구소는 이에 반해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1.3%로 남성(73.2%)보다 낮고, 소득수준도 낮다”며 여성의 노동시장 리스크도 언급했다.
아울러 “여성의 평균 수명이 길 뿐 아니라 결혼을 하지 않는 비혼이나 이혼이 증가하고, 부모에 대한 부양의식이 약화되면서 여성 스스로 노후생활을 꾸려가야 하는 싱글 리스크가 있다”고 덧붙였다.
은퇴연구소는 “여성은 좀 더 적극적으로 본인의 노후에 대비해야 한다”며 “홀로 노후를 보낼 기간에 필요한 노후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부부의 경우 공적·사적 연금 수령 방식을 종신부부형으로 바꾸는 등 수령 기간을 길게 잡고, 여성 본인 명의의 연금을 별도로 가입해 두는 것이 좋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