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폐기되는 기부식품 2억원어치 넘어

해마다 폐기되는 기부식품 2억원어치 넘어

입력 2015-04-29 09:15
수정 2015-04-29 09: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복지부, 사회복지협의회에 기부식품폐기 축소 지시

해마다 수억원 상당의 기부식품이 폐기처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사회복지협의회에 대한 보건복지부의 감사결과를 보면 기부식품관리시스템(FMS)에서 2011년 이후 기부식품 폐기현황을 파악한 결과, 포장상태가 엉망이거나 찌그러지고 유통기한이 임박해서 무료급식소나 지역아동센터 등에 배부하기 곤란한 기부식품이 매년 발생하고 있다.

이를테면 A푸드뱅크의 음료수와 B푸드뱅크의 채소류 등은 특정 시기에 대량으로 폐기처분됐다.

이로 말미암아 2011년 2억1천400만원, 2012년 2억7천900만원, 2013년 2억4천400만원, 2014년 10월 현재 9천900만원 등 해마다 빠짐없이 2억원 어치 이상의 기부식품이 폐기됐다.

이 과정에서 폐기비용이 발생하고 쓸데없는 행정력이 낭비되고 있다.

복지부는 불가피한 경우를 빼고는 기부식품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기부식품 폐기 축소방안을 마련하도록 사회복지협의회에 지시했다.

사회복지협의회는 ‘식품기부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복지부의 위탁을 받아 기부식품의 전국적인 모집과 배분, 사업프로그램 개발과 집행, 기부식품 제공사업자 간 협력체계 구축, 식품나눔문화 활성화 등의 사업을 벌이고 있다.

윤영희 서울시의원 “소년 가해 자전거 사고, 전년 대비 45% 급증···픽시자전거 사고도 확인돼”

서울시의회 윤영희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이 가해자인 자전거 사고가 최근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4년 청소년 가해 자전거 사고는 407건으로, 2023년(278건) 대비 약 46.4% 증가했다. 이로 인한 부상자도 312명에서 454명으로 급증세를 보였다. 학교 내 사고도 증가세가 뚜렷하다. 서울학교안전공제회 접수·보상 기준으로 청소년 가해 사고는 2023년 6건에서 2024년 16건으로 늘었고, 피해자 수도 119명에서 157명으로 증가했다. 특히 제동장치가 없는 경기용 ‘픽시자전거’ 관련 사고도 2023년과 2024년에 각각 1건씩 확인됐다. 픽시자전거는 법적으로 ‘차’로 분류돼 인도 주행이 금지돼 있지만, 청소년들이 이를 알지 못한 채 인도에서 타거나, 차도에서 위험하게 주행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윤 의원은 “픽시자전거는 원래 경기용 자전거로 제동장치가 없기 때문에 법적으로는 자전거가 아닌 ‘차’로 분류되기 때문에 인도 주행은 불법”이라며 “그러나 현재 픽시자전거가 자전거처럼 판매되고, 청소년들이 일상에서 이용하고 있는 현실이 위험성을 키우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
thumbnail - 윤영희 서울시의원 “소년 가해 자전거 사고, 전년 대비 45% 급증···픽시자전거 사고도 확인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