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영화관… 손안의 영화관

나만의 영화관… 손안의 영화관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5-06-24 00:22
수정 2015-06-24 03: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LG 미니빔 사용해 보니

불을 끄자 작은 원룸 천장이 영화관으로 변한다. 이 극장의 최고 장점은 세상 편한 자세로 나만의 장소에서 언제든 영화를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침대에 누워 영화 ‘중경삼림’을 즐겼다. 지난 3일 LG전자가 출시한 발광다이오드(LED) 프로젝터 ‘LG미니빔’(PV150G)을 직접 사용해 봤다.

이미지 확대
제품을 세워 빛을 천장에 쏘자 눈앞에 대형 화면이 나타났다. 스마트폰에 내장된 영화를 틀기 위해 ‘LG TV 스마트쉐어 애플리케이션(앱)’을 깔았다. 이 앱은 미러링(거울처럼 특정기기의 화면을 똑같이 다른 기기에 화면에 띄우는 것) 기술을 지원하는데, 와이파이(WiFi)로 스마트폰 화면과 음성을 다른 제품과 공유할 수 있다.

설정도 간단하다. 스마트폰 속 미러링 기술을 지원하는 ‘미라캐스트’를 선택하면 끝이다. 스마트폰에서 영화를 틀자 미니빔으로 벽에 쏜 화면에서도 스마트폰 화면과 똑같은 영화 장면이 흘러나왔다. 화질은 만족스러웠다. 화질이 좋다는 TV 명암비가 7만 대 1 정도인데 미니빔의 명암비는 이를 훌쩍 뛰어넘은 10만 대 1 수준이다.

영상전송을 위해 유선 케이블이 필수였던 제품들과 달리 미니빔은 무선 연결이 가능하고 배터리가 내장돼 있어 원하는 곳 어디에서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배터리는 영화 러닝 타임인 101분을 거뜬히 견뎠다. 완충 시 2시간 정도 지속된다는 게 LG전자의 설명이다.

화면이 변형되거나 일그러질 때 자동으로 반듯하게 만들어주는 자동 보정(상하 40도까지) 기능도 눈에 띄었다. 야외 캠핑이니 침대 등 바닥이 울퉁불퉁하거나 푹신해 수평을 잡기 어려운 곳에서 유용하다.

여성 손바닥 크기로 가벼운 무게(270g)도 미니빔의 장점이다. 가방 속에 쏙 들어가 휴대성이 높다. 다만 아쉬운 건 소리다. 경쟁사 등이 초소형 프로젝터에 부착한 스피커 출력은 보통 5~10W인데 비해 미니빔 출력은 1W에 불과하다. 가격은 39만 9000원. 70만원대 이상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 기존 제품들에 비해 합리적인 수준이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06-2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