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의 확산으로 학교가 폐쇄되고 원격수업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현실에서 과학기술(STEM,과학(Science)·기술(Technology)·공학(Engineering)·수학(Mathematics)) 분야의 교육 격차는 더욱 심화될 수 있다. STEM 분야는 교육 인프라에 의존한 체험활동과 탐구활동을 통한 학습 과정이 중요한데, 원격수업은 이러한 체험중심의 학습 과정을 어렵게 한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공교육의 역할이 축소되고 가정의 역할이 중요해질수록 가구소득 등의 가구 배경에 따라 학생들의 수학·과학 역량 격차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 일자리, 특히 임금 수준이 높은 ICT 일자리의 핵심 역량이 수학·과학과 같은 기초 학문에 기반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계층 간 차이로 인한 학생들의 수학·과학 교육 격차는 장기적으로 일자리 선택과 직무 역량 격차, 나아가 미래 디지털 사회의 소득 불평등 이슈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STEM 교육 형평성 제고를 위해 교육 기회로부터 소외되는 취약계층 학생들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보고서에는 STEM 분야의 교육 격차 현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교육 기회의 불균등 해소를 위한 대응 방안을 담았다.

최지은 부연구위원은 “한국에서는 과학기술 분야의 교육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을 준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STEM 분야의 교육 격차에 대한 인식과 대비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수학·과학 역량 격차를 유발하는 요인이 교육 격차와 소득 불균등의 심화로 이어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서 과학기술 분야의 교육 기회 형평성 제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