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54년간 1억대 팔렸다

현대·기아차 54년간 1억대 팔렸다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16-04-11 22:56
수정 2016-04-11 23: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달 누적 판매량 1억대 돌파

2000년이후 판매량 7854만대
작년 전체의 84%가 해외 판매


이미지 확대
현대·기아자동차가 전 세계 누적 판매량 1억대를 돌파할 전망이다. 현대·기아차가 완성차를 판매하기 시작한 1962년 이후 54년 만이다.

현대·기아차는 지난 3월 기준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현대차 6402만대, 기아차 3568만대 등 총 9970만대를 판매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로써 현대·기아차는 이달 내에 총판매량 1억대를 넘길 것이 확실시된다. 자동차 1억대는 현대차 아반떼를 한 줄로 세울 경우 약 45만 7000㎞로 지구 둘레를 11바퀴 이상 돌 수 있는 길이다. 펼쳐 놓으면 약 823㎢로 서울시(605㎢)보다도 크다.

첫 완성차 생산은 1962년 기아차가 먼저 시작했고 현대차는 이보다 늦은 1968년 첫 번째 자동차를 생산·판매했다. 현대·기아차의 판매량이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한 것은 1999년 현대차가 기아차를 인수한 뒤 2000년 현대차그룹 출범 이후다. 특히 2000년 이후 17년 동안 판매량은 7854만대로 전체 누적 판매량의 79%에 달한다.

이미지 확대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품질경영 기반의 제품 경쟁력 강화와 수출 확대 및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했다”면서 “공격적인 글로벌 현지화 전략과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등으로 명실상부한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로 성장했다”고 말했다.

현대·기아차의 성장은 수출 확대의 영향이 컸다. 1998년부터 국내 판매량보다 해외 판매량이 더 많아진 현대·기아차는 지난해 전체 판매량 중 84%를 해외에서 판매했다. 지금까지 가장 많이 판매된 모델은 현대차의 준중형 세단인 아반떼로 1990년 출시 이후 약 1119만대가 판매됐다. 이어 소형차 엑센트가 824만대, 대표 중형 세단 쏘나타가 783만대로 뒤를 이었다. 기아차 중에서는 1986년 출시된 소형차 프라이드가 422만대로 가장 많이 판매됐다.

증가한 자동차 판매량 만큼 현대·기아차를 포함한 자동차 산업이 국내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력도 점차 커졌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국내 자동차 수출액은 5268억 달러 중 713억 달러로 전체의 13.5%였다. 현대·기아차의 협력업체도 2001년 46개에서 2014년 139개로 14년 만에 3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해 현대·기아차는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총 801만 5745대를 판매해 글로벌 완성차 업체 중 다섯 번째로 많은 생산량을 유지했다. 현대·기아차는 2010년 처음으로 글로벌 완성차 업계 톱5에 진입한 뒤 이를 유지하고 있다.

김혜영 서울시의원, 광진구 교육환경 개선 위한 2025년 교육청 추경예산 34억원 확보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혜영 의원(국민의힘, 광진4)은 지난 6월 27일 개최된 서울시의회 제331회 정례회 본회의를 통해 의결된 2025년 제1회 서울시교육청 추가경정예산에서 광진구 내 학교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예산 총 34억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번 추가경정예산에서 확보된 예산을 통해 건대부중·건대부고, 구의초·구의중, 동자초, 신양초·신양중, 자양중 등 광진구 관내 8개 학교의 급식실 환경개선, 냉난방 설비 보완, 노후 시설 정비 등 학생들의 생활과 직결되는 교육환경 개선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김 의원이 확보한 광진구 관내 학교별 주요 예산 내역을 보면, 건대부중에는 ▲전자칠판 설치 등 2억 5,900만원, 건대부고에는 ▲스마트 건강관리교실 조성 등에 1억 2507만원이 투입된다. 구의중학교에는 ▲노후 조리기구 교체 및 확충에 2849만원, 구의초등학교는 ▲본관동 및 서관동 냉난방 개선 등에 7억 1304만원이 반영됐다. 또한 동자초등학교에는 ▲교사동 냉난방 개선 예산 등 8억 5816만원, 신양중학교는 ▲학교급식 환경 개선 등 2억 6977만원, 신양초등학교는 ▲급식실 환기개선을 위한 예산 5421만원이 각각 편성됐으며, 자양중
thumbnail - 김혜영 서울시의원, 광진구 교육환경 개선 위한 2025년 교육청 추경예산 34억원 확보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6-04-1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