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기 패티 위주의 패스트푸드 버거 체인점에서 조연에 그쳤던 치킨버거의 인기가 최근 치솟고 있다. 지속가능성, 환경, 채식 등이 식음료 업계의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젊은 소비자들이 치킨 패티를 선호하는 분위기가 형성된 결과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치킨버거는 최근 글로벌 패스트푸드계의 대세가 됐다. 닭고기를 튀겨 만드는 치킨버거를 주력으로 파는 맘스터치 매장 수는 2012년 297개에서 올해 1230개로 늘어났으며 맥도날드, 버거킹, 롯데리아 등 주요 패스트푸드 업체들도 치킨버거 메뉴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맥도날드는 2017년 단종됐던 맥치킨버거를 지난 10월 재출시했는데 2주 만에 150만개가 팔렸다. 버거킹도 최근 치킨버거 2종을 새로 내놨다.
패스트푸드 원조 미국에서도 치킨버거의 인기는 하늘을 찌르고 있다. 파파이스가 지난여름 출시한 치킨 샌드위치가 미 전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품절 대란을 일으키고 있다. 지난 4일 메릴랜드주 프린스조지카운티 옥슨 힐의 한 매장에서는 치킨버거를 사기 위해 줄 서 있던 손님들끼리 새치기를 했다는 이유로 싸움이 벌어져 한 남성이 다른 손님의 흉기에 맞아 사망하는 사건까지 벌어졌다고 CBS 등은 보도했다.
환경이 식음료 업계의 키워드로 떠오르며 치킨버거의 인기를 이끌었다. 최현정 한국맥도날드 총괄셰프는 “트렌드에 민감한 젊은 소비자들은 어렸을 때부터 치킨을 자주 먹고 자라 치킨을 친숙하게 느끼는 데다 닭고기가 소고기보다 환경 폐해를 덜 일으키는 친환경 고기라고 여겨 치킨버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9-12-0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