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행운번호 당첨 등 조건
고금리 미끼 상품 상술 빈축
증시 불황으로 시중 자금이 은행으로 몰리는 ‘역머니무브’ 현상에 편승해 고금리 미끼 상품으로 신규 고객을 모집하는 상술이 빈축을 사고 있다. 연 10%의 고금리에 혹해 가입하더라도 까다로운 요건을 맞추기 어려워 실제로는 일반 예적금 상품보다 적은 이자가 적용되기 때문이다.3일 금융권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대표적인 고금리 상품은 카드 이용 실적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케이뱅크의 ‘핫딜적금X우리카드’ 상품의 경우 최고 연 10%의 금리를 준다고 홍보하지만 기본금리는 연 1.80%에 불과하다. 최고 금리를 받으려면 적금 가입 후 익익월 말까지 우리카드로 20만원 이용 실적을 충족(연 4.20%)하거나 만기 전전월 말까지 240만원 이상(연 5.70%)을 써야 한다. 월 최대 불입금이 20만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세후 약 11만원을 받기 위해 연간 240만원을 써야 하는 셈이다.
전북은행의 ‘JB카드재테크적금’ 또한 연 7.00% 금리(기본금리 연 2.50%)를 받을 수 있다고 광고하지만 JB카드를 1000만원 이상 써야만 우대금리(연 4.00%)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배보다 배꼽이 크다는 비판이 나온다.
로또형이나 고금리인 양 착시 효과를 내는 상품도 있다. 광주은행의 행운적금은 최고 연 13.7%(기본금리 연 3.70%)의 금리를 준다고 하지만 이런 금리를 받으려면 ‘행운번호’에 당첨돼야 한다. 카카오뱅크의 ‘26주 적금’의 경우 연 7.00% 금리를 내세우지만 매주 납입금을 증액하는 방식이라 정액으로 균등 납부하는 것과 비교하면 오히려 이자를 조금 받게 된다.
다만 내년 초까지 금리 인상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오는 24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도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밖에 없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연내 시중은행 수신 금리도 오를 수 있어 파킹통장을 활용하거나 만기가 짧고 중도에 해지하더라도 이자를 주는 적금 상품을 눈여겨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2022-11-0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