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동엽 희망찬가] 꼴찌와 첫째

[차동엽 희망찬가] 꼴찌와 첫째

입력 2014-09-29 00:00
수정 2014-09-29 04: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차동엽 인천 가톨릭대 교수·신부
차동엽 인천 가톨릭대 교수·신부
학창시절 내가 한창 공부할 때만 해도 이공계가 대세였다. 대한민국 고도 경제 성장과 맞물려 시작된 이 붐은 1980년대를 거쳐 90년대 후반까지 유효했다. 그러다 1997년 우리나라 IMF 외환위기 이후 이공계 출신의 인재 수요가 줄기 시작하더니, 2010년쯤에는 젊은이들의 ‘이공계’ 기피 현상이 절정에 이르렀다.

그랬는데, 올 취업 시장에서는 이공계 출신의 수요가 많이 증가한 반면 인문·상경계 출신의 수요는 괄목할 만하게 줄었다고 언론은 보도한다. 격세지감이랄까, 사회적 변덕이랄까. 종잡을 수 없는 변화에 젊은이들만 헷갈릴 법하다. 이 뉴스를 접하는 순간 내게는 문득 “첫째가 꼴찌 되고 꼴찌가 첫째 되는 이들이 많을 것이다”(마태 19, 30)라는 성경 말씀이 떠올랐다. 꼭 그 모양새 아닌가.

차제에 저런 롤러코스터 현상의 원인과 대안에 관심을 기울여 보자. 변화의 발단은 IMF 외환 위기였다. 그 당시 정리해고 대상 1순위였던 이공계 연구 직종, 벤처기업들의 줄지은 몰락, 그리고 전 세계적인 이공계 위기설 등을 바라보며 진로를 고민하던 학생들 대다수는 이공계에 대한 비전을 잃었다.

그 결과 국내 대학들은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이공계 석·박사 지원율이 뚝 떨어지는 것을 지켜봐야 했고, 2008년 한 신문 기사에서는 서울대의 ‘최근’ 3년간 자퇴생 중 70% 이상이 이공계 학생이라는 소식도 접할 수 있었다. 당시 그들은 대부분 대입시험을 다시 치러 의·치대나 한의대로 진학하기 위해 학교를 떠난 것이었다고 한다.

물론 취업난도 이어졌다. 우수 인재들의 이공계 기피 현상에 이어 2009년에는 그나마 양성한 이공계 박사급 인력 절반 정도가 학교와 연구소, 기업에서 채용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바로 몇 년 전에는 모든 미디어에서 대놓고 인문학 부활을 외치기도 했다. 가정에서, 학교에서, 기업에서는 너도나도 인문학 열풍 속에 뛰어들었다.

그러다가 올해 들어 다시 새롭게 ‘이공계 붐’의 조짐이 일고 있는 것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대기업 300곳의 신규 채용 규모를 조사한 결과 규모를 늘리겠다는 곳은 15.1%에 그친 반면, 절반 정도는 작년과 비슷하게 32%를 줄일 계획이라고 한다. 이 같은 취업난 속에서 신입사원 선호도가 이공계에만 쏠리고 있어 인문·상경계 학생들이 더 큰 위기를 맞고 있다는 것이다. 대기업 공채의 이공계 비중은 80~100%나 된다고 한다.

왜일까. 대다수 기업이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기술력을 지닌 인재, 곧바로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인재를 선호하기 때문이란다. 요즈음과 같은 전 지구적 불경기에 인문학적 소양을 요구하고 그런 인재를 뽑을 회사를 찾기란 하늘의 별 따기란 얘기다.

하지만 방금의 얘기가 결론은 아니다. 어차피 돌고 도는 순환 과정은 반복된다. 젊은이들은 이 사실을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무엇이 우세한지는 더는 문제가 아니다. 어차피 이렇게 돌고 도는 식이라면 굳이 우리는 유행을 좇을 필요가 없다. 지금 붐이 일었다 하여, 유행이자 대세라 하여, 열심히 뒤쫓아가 봤자 일정한 요구 치에 올랐을 땐 이미 엇박자 치기일 확률이 더 높다는 것. 오히려 뒤떨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결국, 살아남는 요령은 간단하다. 자기 적성에 맞는 것을 찾고, 자기가 원하는 것을 하며 시간을 기다리는 것. 최후의 승자는 언제나 자기 길을 걷는 사람이다.

그렇다고 우리 사회에 대해 아쉬움이 없는 게 아니다. 성숙한 사회일수록 특정 붐이 없다. 있다 해도 아주 작은 영역에서일 뿐 전체의 생활양식을 뒤집어버릴 선은 아니다. 우리도 언젠가는 꾸준하면서도 적절하게 수요 조정을 할 수 있는, 그런 탄력성 있는 선진 사회를 맞기를 꿈꿔본다.

그 속에서 모든 구성원이 각자 고유의 재능으로 곳곳에서 빛나는 활약을 맘껏 펼칠 수 있는 시대가 언젠가는 꼭 도래했으면 하는 것이다.

인천가톨릭대 교수·신부
2014-09-2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