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국 여행 주의하라는 日정부, 한국 시민 얕봤나

[사설] 한국 여행 주의하라는 日정부, 한국 시민 얕봤나

입력 2019-08-06 00:04
수정 2019-08-06 04: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본 외무성이 그제 한국을 여행하는 자국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하는 ‘스폿 정보’를 내놓았다. 반일 시위를 이유로 들었다. 유사한 내용으로 지난달에만 세 차례, 이에 앞서 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도 스폿 정보를 내는 등 올해 들어서만 벌써 다섯 번째다. 스폿 정보는 여행객 안전과 관련한 중요 사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때 내놓는다. 4단계 여행경보(여행유의-여행자제-철수권고-여행금지)보다는 낮은 수위지만, 한국민의 높은 시민의식을 얕본 과잉 조치가 아닐 수 없다.

일본의 수출 규제에 항의하는 촛불집회가 지난달 20일부터 토요일마다 서울 도심에서 열리고 있지만 문화제 형식으로 물리적 폭력과는 거리가 멀다. 일본 여행을 자제하고 제품 구매를 꺼리는 ‘보이콧 재팬’ 현상이 빠르게 확산되는 것도 정부의 강요가 아닌 자신의 신념에 기반한 ‘가치 소비’라고 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도쿄를 포함, 여행금지구역 확대를 검토해야 한다”는 최재성 더불어민주당 일본경제침략대응특별위원장의 어제 발언은 일본의 부당한 조치에 대한 항의의 메시지일뿐 우리 국민의 뜻을 제대로 읽어 낸 반응이라고 보기 어렵다.

한국 국민의 자발적인 응집력과 성숙한 시민의식은 위기마다 돋보였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때 1000억원이 넘는 성금을 모으고, 당시 서울 시내 곳곳에 ‘힘내라 일본!’ 등의 현수막을 내건 것도 한국 국민이다. 한국인은 일본인들의 고통에는 공감해 도움을 주고, 일본 정부의 부당한 조치에는 강하게 반발하는 등 상식에 기반해 행동한다. 일본 정부는 우리 정부의 대응적 조치보다 우리 국민의 시민의식을 더욱 두려워해야 한다. 일본 정부가 만약 잇단 스폿 정보 발령에 자국민들의 한국 여행 수요를 감소시키려는 전략을 숨겼다면, 이는 한국 국민의 감정선을 건드리는 또 다른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점도 명심해야 한다.

2019-08-0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