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혼돈의 정의당, 조속히 해법 찾아 대선 임하길

[사설] 혼돈의 정의당, 조속히 해법 찾아 대선 임하길

입력 2022-01-13 20:36
수정 2022-01-14 02: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심상정 정의당 대통령 후보가 모든 일정을 중단하고 칩거에 들어간 가운데 13일 선대위 회의가 열리는 국회 정의당 회의실이 텅 비어 있다. 심 후보는 전날 선대위를 통해 “현 선거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이 시간 이후 모든 일정을 중단하고 숙고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국회사진기자단
심상정 정의당 대통령 후보가 모든 일정을 중단하고 칩거에 들어간 가운데 13일 선대위 회의가 열리는 국회 정의당 회의실이 텅 비어 있다. 심 후보는 전날 선대위를 통해 “현 선거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이 시간 이후 모든 일정을 중단하고 숙고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국회사진기자단
대통령 선거를 50여일 앞두고 정의당이 일대 혼란에 빠졌다. 심상정 후보는 칩거에 들어갔고, 당 선거대책위원들은 전원 사퇴했다. 바닥을 기는 심 후보 지지율이 직접적인 이유다. 지난 11일 발표된 한길리서치 여론조사에서 심 후보는 2.2%라는 참담한 지지율을 받아들었다. 허경영 국가혁명당 후보의 3.2%보다도 낮다. 다른 조사 흐름도 엇비슷하다. 무시하고 넘길 상황이 아님은 분명해 보인다.

우리 사회의 소수와 약자를 위한 정치세력을 자처하는 정의당의 존재감 상실은 비단 그들만의 위기로 볼 수는 없는 일이다. 거대 정당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이념상 중도와 보수에 선 상황에서 진보세력의 퇴조는 사회 가치의 건강성 차원에서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새가 한쪽 날개로만 날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다. 정의당의 전신인 민주노동당이 2004년 17대 국회의원 총선에서 10석을 확보하며 44년 만에 원내 진출에 성공한 뒤로 진보 정당은 각종 선거에서 10%를 넘나드는 득표율을 거뒀다. 이를 바탕으로 인권과 복지, 노동 등의 현안에서 진일보한 정책을 견인해 왔다. 이는 앞으로도 정의당 등 진보 정당에 주어진 책무라 하겠다.

심 후보의 부진을 두고 당 안팎 논란이 뜨겁다. 대선에 재도전한 심 후보에 대한 국민들 관심이 식었다거나, 2030세대 중심의 페미니스트 논쟁에 함몰돼 젠더 정당으로 비쳐지면서 큰 틀의 진보 어젠다를 놓쳤다는 지적도 있다. 나아가 조국·윤미향 사태 등 정의와 공정이 화두가 된 사건 때 진보세력으로서 선명한 모습을 보여 주지 못했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시대를 앞서간다지만 실은 시대에 뒤처진 집단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전면적인 당의 혁신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심 후보는 조속히 해법을 찾아 대선에 복귀하길 바란다.

2022-01-1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