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기후변화로 댐 범람 우려” 경고, 시급히 대응해야

[사설] “기후변화로 댐 범람 우려” 경고, 시급히 대응해야

입력 2024-03-20 00:59
수정 2024-03-20 00: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원 춘천시 신북읍 소양강댐이 수문을 활짝 열고 있는 전경. 연합뉴스
강원 춘천시 신북읍 소양강댐이 수문을 활짝 열고 있는 전경. 연합뉴스
감사원이 그제 공개한 ‘기후위기 적응 및 대응실태’ 감사 결과를 보면 그저 아찔하다. 이대로 뒀다가는 2040년쯤이면 한강 상류 댐들이 범람할 수 있으며, 수도권 다리들도 물넘침 사고가 심각해진다는 것이다. 기후위기가 일상화된 시대에 어쩌자고 이렇게 무방비로 허송세월하는지 걱정스럽다.

감사 결과에 따르면 한강 상류 평화의댐과 청평댐은 홍수기의 최고 수위가 댐 높이를 넘겨 언제든 물이 넘칠 수 있다. 소양호, 충주호 등은 앞으로 최악의 경우 한 번에 최대 강수량이 각각 969㎜, 739㎜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전국 곳곳의 주요 댐이 예측 시기만 다를 뿐 대형 범람 사고가 언제 터져도 이상할 게 없어지는 실정이다. 다리 붕괴 위험도 마찬가지였다. 교각이 있는 수도권의 다리 210개를 살폈더니 72%가 이미 교각 아래가 파이는 세굴 현상 조짐을 보였다. 통영항, 마산항, 평택·당진항, 부산 마린시티 등은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 위험이 컸다. 엉성하기 짝이 없는 정부 대응은 더 놀랍다. 환경부는 기후변화를 무시한 채 하천 설계를 했고, 댐 설계도 20년 전 기후를 기준으로 삼고 있었다. 국가철도공단은 60년쯤 전의 온도 설정 기준으로 아직도 철도 레일을 설치하고 있었다. 대체 어느 시대의 정부 기관들인지 알 수 없다. 대형 참사가 시간문제인 이런 주먹구구 대응이 감사원의 조사로 드러났다는 점에서 할 말은 더 없어진다.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태풍 등 재난이 해마다 이어진다. 국내 주요 기반시설들은 1970~80년대에 집중적으로 건설됐다. 기상이변 이전의 기준대로 지어진 시설물들을 아무 경각심도 없이 방치할 일이 결코 아니다. 댐, 교량 설계는 물론 각종 방재 기준들을 기후변화에 맞춰 원점에서 재점검하는 작업이 시급하다.
2024-03-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