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뻐꾹 소년’과 뱁새/탐조인·수의사

[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뻐꾹 소년’과 뱁새/탐조인·수의사

입력 2021-10-03 17:18
수정 2021-10-04 02: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021. 9. 경기 고양시 집 근처 덤불에서. 밥 달라고 소리 내면서 뱁새 부모가 어디에 있는지 살펴보는 뻐꾸기 소년.
2021. 9. 경기 고양시 집 근처 덤불에서. 밥 달라고 소리 내면서 뱁새 부모가 어디에 있는지 살펴보는 뻐꾸기 소년.
“씁씁씁씁~.” 동네를 산책하는데 풀벌레 소리 가득한 개천가 덤불에서 풀벌레 소리 같지만 아닌 것 같은 소리가 들린다. 둘러보니 덤불에 흔한 참새나 뱁새보다 훨씬 큰 새가 앉아 있는 게 눈에 띄었다. 쌍안경으로 보니 뻐꾸기다. 아, 어린 뻐꾸기가 뱁새 부모를 부르는 것이구나.

저 뻐꾸기는 완전히 컸고 잘 날며 건강한데도 아직 애기처럼 입을 크게 벌려 빨간 입속을 보이며 밥 달라고 찡찡거리고 있다. 보호 본능을 자극하는 연약한 소리와 뱁새의 시각을 자극하는 빨간 입속. 어린 뻐꾸기의 생존 전략이다. 다만 저 뻐꾸기는 청소년급이다.

‘뻐꾹 소년’은 한자리에 가만히 앉아 소리를 내다가 이리저리 자리를 옮긴다. 처음에는 지켜보는 나를 경계하나 했는데 꼭 그런 것만은 아니고 뱁새 부모를 지켜보다가 벌레를 잡으면 ‘그거 나 줘요. 나 줘’ 하며 그 앞으로 날아가 날개까지 퍼덕거리며 밥 달라고 입을 크게 벌린다. 그 작은 뱁새는 애써 잡은 벌레를 커다란 뻐꾸기의 입에 쏙 넣어 주고. 나는 뻐꾸기를 붙잡고 ‘이제 다 컸으니 엄마 고생시키지 말고 네가 직접 잡아’ 하고 소리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았지만 내 말을 알아듣진 못하겠지.

다음날도 산책을 나갔더니 뻐꾹 소년이 밥 달라고 조르는 소리가 또 들린다. 뱁새를 따라다니면서 덤불 사이를 요리조리 날아다니는 뻐꾸기를 한참 보고 있노라니 답답하다. 오늘도 마음 약한 엄마인 붉은머리오목눈이가 뻐꾸기 입에 벌레를 넣어 준다. 그런데 어제와는 다르다. 어제는 거의 바로 입안에 넣어줬던 것 같은데 오늘은 줄 듯 줄 듯하며 자꾸 뒤로 움직인다. 결국 뻐꾸기가 얼른 따라가서 낚아채긴 했지만. 계속 지켜보니 다음번에는 뻐꾸기에게 주지 않고 삼켜 버린다. 이제 독립해야 한다는 걸 알려 주는 것 같다.

세 번째 날에는 뻐꾸기가 소리를 내는 위치가 꽤 옮겨졌다. 내가 지켜보는 내내 뻐꾸기 주변에 벌레를 물고 오는 뱁새가 그날은 보이지 않는다. 때가 된 것일까?

네 번째 날 이후로는 뻐꾸기가 밥 달라고 내는 소리가 더이상 들리지 않는다. 이제 포기하고 스스로 먹이를 사냥하는지도, 어쩌면 기러기들이 타고 온 된새바람을 타고 아프리카로 머나먼 여정을 시작했는지도 모르겠다. 맨날 뱁새 둥지에 알을 낳고 귀여운 뱁새를 고생시키는 얄미운 뻐꾸기지만 그래도 무사히 잘 보내고 내년에 또 보길 바란다.

탐조인·수의사
2021-10-0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