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금강초롱/이춘규 논설위원

[길섶에서] 금강초롱/이춘규 논설위원

입력 2010-09-02 00:00
수정 2010-09-02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늦장마 속 햇볕 따가운 8월 하순 주말. 강원·경기 경계지역 산행의 발걸음은 무겁다. 땀이 비오듯 한다. 전반부 오르막 길은 더 힘겹다. 숨이 턱턱 막혀 쉬면서 오른다. 네 시간 정도 올랐을 때 뜻밖의 행운. 6월 초쯤 피는 새하얀 함박꽃(산목련)이 거짓말처럼 반긴다. 힘이 솟는다.

함박꽃의 기쁨은 잠시. 1000m 안팎 봉우리를 오르내리자 몸은 파김치가 돼 간다. 그늘 속 산바람은 어느새 선선하지만 기력이 다해 간다. 한 걸음 내딛기도 힘들 무렵 한반도 야생화의 진객 금강초롱이 새 힘을 준다. 해발 1168m 산꼭대기 부근 다섯 군데에서 본 보라색 금강초롱들. 겨우 몇 송이씩이다. 금강초롱들이 군락을 이루지 않고 있어 더 소중해 보인다.

높은 산에서만 볼 수 있는 귀한 생명체들은 등산의 힘겨움을 덜어준다. 하지만 땀 흘려 높이 오른다고 금강초롱 같은 진객을 만나고, 좋은 전망을 만끽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맑은 공기에 만족해야 할 때도 적지 않다. 조금 땀 흘렸다 해서 큰 결실을 기대하진 말라고 산이 일갈한다.

이춘규 논설위원 taein@seoul.co.kr
2010-09-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