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고향의 재발견/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고향의 재발견/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4-03-18 00:00
수정 2014-03-18 00: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간이역의 서정이란? 단연 호젓함일 게다. 인터넷을 검색하다 고향마을 간이역 사진을 발견했다. 최근 복선 전철화로 100년을 지켜온 역사(驛舍)는 사라졌지만 정겨운 모습이다. 워낙 궁벽한 외톨이 마을이라 기록이 있으리라곤 생각도 못했다. 고향의 추억이 파노라마처럼 스쳐간다.

사진 속 간이역 풍경은 단촐하지만 오밀조밀한 게 퍽 그럴싸하다. 고향의 하찮은 뒤태마저 들춰내 기록해 준 이들이 고맙다. 어떤 이는 찻길에 버려진 빛바랜 한 장의 승차권을 찍어 올렸다. ‘색깔 있는 곳’이란 평도 달렸다.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랴. 소박하면 소박한 대로 고향의 맛 아닌가. 하마터면 흔적도 없이 사라질 뻔한 고향의 속살을 남겨준 이들이 소중할 따름이다.

이제 간이역에 기차는 서지 않는다. 키 작은 소나무만이 바람결에 고향 얘기를 전해줄 뿐. 어느 누리꾼이 댓글을 올렸다. “외갓집 동네닷.” 불원천리(不遠千里). 도회 사람에게 고향은 언제나 한달음에 달려가고픈 어머니 품 같은 곳이다. 고향을 떠난 이여, 간이역 아니 마을을 홀로 지키는 쪼그만 비석이라도 한번 찾아보라.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03-1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