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윷놀이 2/박홍기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윷놀이 2/박홍기 수석논설위원

박홍기 기자
입력 2017-02-03 22:44
수정 2017-02-04 0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집안 식구들이 거의 다 모였다. 열여섯 개 조(組)다. 가족도 짝이 갈렸다. 부부끼리, 엄마와 아들이, 아빠와 딸이, 할머니와 손자가 짝이 됐다. 번호를 뽑아 상대를 정했다. “아버지, 어머니, 절대 봐주지 마세요.” 사촌이 너스레를 떤다. 3대가 어울린 설맞이 윷놀이다.

10년이 넘다 보니 갓난아기였던 조카들도 커 스스럼없이 끼었다. 어른 옆에 턱하니 앉아 말판을 옮기기도 했다. 네 살 된 꼬맹이는 조그만 두 손으로 윷가락을 모아 톡톡 치다 던졌다. 어른 흉내다. 어른들은 자식, 조카, 손자들의 노는 모습에 마냥 흐뭇하다.

윷놀이는 예측할 수 없다. 공중에 떴다가 떨어져 구르다 멈추고, 뒤집히는 듯하다 자리를 잡기 일쑤다. 종잡을 수 없다. 엎치락뒤치락이다. 윷가락 하나에 탄성과 아쉬움이 뒤섞인다. 윷가락 맘대로다. 원하는 대로 맞아떨어지면 그 순간만은 고수(高手)다.

결승전은 애들끼리 맞붙였다. 어른들이 양보했다. 편이 따로 없다. 이기는 쪽엔 “잘한다” 축하를, 지는 쪽엔 “괜찮다” 격려를 한다. 목이 컬컬해지면 막걸리 한 잔을 들이켜고, 아이들은 식혜를 마신다. 왁자지껄 속에 우승이 결정됐다. 윷 잔치가 끝났다. 또 한 살 먹었다.

박홍기 수석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7-02-0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