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친척 붕괴/박건승 논설위원

[길섶에서] 친척 붕괴/박건승 논설위원

박건승 기자
입력 2017-10-11 22:50
수정 2017-10-12 00: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근 나온 여론조사를 보니 2008년엔 88%가 ‘친척은 편안한 존재’라고 여겼던 것이 올해는 56%로 곤두박질쳤다.

한국인 절반이 ‘친척은 편안하다고 생각하지만 9년 전보다 ‘불편한 존재’로 여기는 비율이 훨씬 높아졌다. ‘친척 범위’도 삼촌, 이모 등 ‘4촌 이내’를 꼽은 사람이 절반에 육박했다. 친척 범위가 좁아지고 친척과의 교류가 줄어들고 있다는 증좌일 게다. 왜일까. 사촌들은 친척 어른들에게 “결혼도 묻지 말라, 시험도 묻지 말라, 취업도 묻지 말라”며 ‘잠수’를 타 버린다. 명절증후군은 며느리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김 서방, 직장은? 연봉은? 아이는?…” ‘처월드’로 고민하는 사위들은 모처럼 처가 식구와 대면해도 데면데면할 수밖에 없다. 멀어진 듯 보이지만 그래도 마음 가는 것이 ‘친척’ 아닌가. 어른들이 나설 차례다. 조카 대학과 직장, 그리고 사위 연봉이 궁금하더라도 참아 넘기자. 대신 격려하자. 가뜩이나 결혼절벽, 저출산 시대를 맞아 사촌들까지 서먹서먹하게 만드는 건 죄악이다. 명절증후군이란 화두만 던져 놓고 오불관언한 것이 언론이었다. 이제 갈등을 조장하는 일은 그만두자.

박건승 논설위원 ksp@seoul.co.kr
2017-10-1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