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먹방/김상연 논설위원

[길섶에서] 먹방/김상연 논설위원

김상연 기자
김상연 기자
입력 2020-10-12 20:50
수정 2020-10-13 01: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무리 ‘바보상자’의 노예로 살지언정 ‘먹방’만은 보지 않기로 결심한 지 꽤 됐다. 남이 음식을 먹는, 지극히 원초적인 장면을 입을 헤벌쭉 벌리고 시청하는 내 모습이 한심해서다. 먹방 프로그램이 너무 많아서 채널을 건너뛰기 쉽지는 않지만 신속하게 리모컨을 돌려 가며 그런대로 결심을 실천해 왔다.

그러다가 어느 날 ‘동물의 세계’를 시청하던 중 사자가 초식동물을 잡아먹는 장면을 넋 놓고 바라보는 나를 발견했다. 가만있어 봐라. 이것도 먹방 아닌가. 인간 먹방을 차단하자 동물 먹방으로 쏠리는 풍선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먹방의 굴레는 벗어날 수 없다는 말인가. 그러고 보니 유튜브 채널 상위권도 대부분 먹방이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나 말고도 먹방에 끌리는 인간들이 많다는 얘기다.

사실 기나긴 진화의 시간에서 인간이 지금처럼 문명 생활을 한 기간은 극히 짧다. 대부분의 인류사에서 인간의 삶은 ‘먹는 것’이었다. 지금 동물들이 하루 종일 뭐하며 지내는지를 보면 짐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먹방에 볼모 잡힌 자신을 너무 책망하지 말자. 그저 진화의 먼 궤적을 추억할 뿐이라고 위안하자. 그렇다면 이제부터 다시 먹방을 보겠느냐고? 안 볼 것이다. 슬기로운 인간, 호모 사피엔스의 마지막 자존심이다.

carlos@seoul.co.kr
2020-10-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