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초(超)연결사회/김균미 대기자

[길섶에서] 초(超)연결사회/김균미 대기자

김균미 기자
입력 2021-10-14 20:24
수정 2021-10-15 01: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대를 초(超)연결사회라고들 하잖아요. 정말 그렇더라고요.”

얼마 전 친한 후배가 초연결사회 얘기를 꺼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활동을 활발히 하는 편이 아니어서 무슨 소리냐고 했더니 경험담을 풀어놓았다.

추석 연휴 마지막 날이었단다. 아들이 밤 9시쯤 반려견을 산책시키러 나갔다가 반려견이 목줄을 풀고 달아났다고 한다. 놀란 아들의 전화를 받고 온 가족이 어린 반려견을 찾아 집 주변을 백방으로 뛰어다녔다. 이름을 아무리 불러도 찾을 수 없어 속이 새까맣게 탔다. 그때 길에서 만난 이웃이 ‘당근마켓’에 올려 보라고 권했다.

지푸라기 잡는 심경으로 강아지 사진과 잃어버린 시간, 장소, 연락처를 올렸다. 10분쯤 지났을까.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왔다. 닮은 강아지를 근처에서 봤다는 전화였다. 사이트에는 응원 댓글과 비슷한 강아지를 봤다는 글이 여럿 올라왔다. 밤늦도록 함께 강아지를 찾아준 낯선 친절한 이웃들 덕분에 2시간 반 만에 수풀 사이에 웅크리고 있던 반려견을 찾았다. 그 후배는 ‘기적’이라고 했다.

요즘은 앞집, 옆집에 누가 사는지 잘 모른다. 파편화하고 정이 메말라 간다지만 온라인 속 이웃 밖 진짜 동네 이웃의 훈훈함이 느껴져 마음이 놓인다.

2021-10-1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