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빼박캔트’ FFVD/황성기 논설위원

[씨줄날줄] ‘빼박캔트’ FFVD/황성기 논설위원

황성기 기자
황성기 기자
입력 2018-07-04 21:00
수정 2018-07-04 21: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복잡다단하고 다양해진 오늘날을 살아가자면 약어(略語), 즉 줄임말을 몰라서는 바보 되기 십상이다. 약어 그깟것 모른다고 일상생활을 꾸려 가는 데 지장은 없지만, 대화를 하거나 신문이나 방송을 접할 때 듣지도 보지도 못한 시사 약어가 튀어나오면 순간 이해불능의 상태에 빠지기 쉽다. 전 국민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된 카톡 같은 데서 쓰는 수고를 줄이거나 읽는 상대방을 배려할 때 혹은 시대에 뒤처진 인간이 아님을 과시하기 위해 약어나 신조어를 날리는 일이 적지 않은데, 받는 쪽에서 약어를 모르면 당황하기 일쑤다.

‘빼박캔트’가 그렇다. 필자도 잘 몰랐지만 10대 자녀나 조카를 뒀다면 귀동냥했을 법하다. ‘빼도 박도+못한다(can’t)’의 한글 영어 약어 조합이란다. ‘아재’ 취급을 당하지 않으려면 ‘알아 둬야 할 10대 신조어’에 올라 있다. SNS에서 대화할 때 알겠다는 ‘오케이’가 자음만의 조합인 ‘ㅇㅋ’ 혹은 ‘ㅇㅇ’가 된 지 오래다. 미국에서도 SNS 대화 때 알았다(I see)가 ‘IC’, 행운을 빈다(Good Luck)가 ‘GL’로, 약어가 일상화돼 있고 이런 줄임말은 전 세계 공통의 현상이 됐다.

바쁜 세상에 가급적 줄여 말하는 걸 나쁘게 말할 생각은 털끝만큼도 없다. 하지만 약어가 너무 자주 바뀌거나 하면 헷갈리고 따라잡기도 어렵다. 나아가 약어를 바꾸는 배경에 의심도 생긴다.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고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가 우리의 눈과 귀에 익숙해진 게 불과 몇 달도 되지 않는다. 그런데 미국 국무부의 며칠 전 발표에서는 CVID가 어느새 ‘FFVD’로 바뀌었다. ‘최종적이고(final) 완전하게(fully) 검증된(verified) 비핵화(denuclearization)’라는 뜻이다. 그게 그거 같은데 아마도 바꾼 의도가 있을 것이다. 북·미 정상회담 합의문에 CVID를 못 넣은 비난이 트럼프 행정부에 쏠리자 물타기로 바꿨을 수 있다.

CVID보다 조금 센 영구적(permanent)인 PVID를 주장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평양 방문길에 오른다. 폼페이오 장관은 비핵화 일정을 ‘향후 2년 반’이라고 했다. 최근 대북 강경파 존 볼턴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비핵화는 1년이면 된다고 더 나갔다. 미 국무부 대변인은 한술 더 떠 “우리는 (비핵화) 시간표를 내놓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당사자 북한이 많이 헷갈릴 것 같다.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데 빼도 박도 못할 ‘빼박캔트 비핵화’를 이뤄 한반도 평화가 달성되면 더 할 나위 없겠다. 북·미 고위급회담에서 약어도 정리하고 시간표(time line)도 분명히 했으면 한다.

2018-07-0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