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유럽 ‘디폴트 도미노’ 오나 공포 확산
그리스와 이탈리아가 파국을 맞을 가능성이 갈수록 높아지는 듯하다. 프랑스의 대표 은행인 소시에테 제네랄과 크레디 아그리콜 등 두 곳의 신용등급 강등 우려가 14일 현실로 나타났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유로지역 2개 은행에 5억 7500만 달러(약 6377억원)를 대출할 예정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남유럽 재정 위기 해법을 둘러싼 유로존 국가들의 불협화음이 계속되는 가운데 유로본드 도입 가능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조제 마누엘 바호주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14일 유럽회의 본회의에서 집행위가 유로본드 도입과 관련된 방안을 곧 선보일 것임을 확인했다.
이탈리아 정부가 중국투자은행(CIC)과 투자 협상을 벌이는 등 유로존 밖으로 손을 내밀었지만 원자바오 총리가 국채 매입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티머시 가이트너 미국 재무부 장관이 16~17일 폴란드에서 열리는 유럽 경제재무장관 각료이사회(ECOFIN)에 참석해 유로존에 유럽재정안정기금(EFSF)의 확대 등을 촉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도 유로존 해체를 원치 않는다면 결국 유로본드 도입이 필요하다고 본다. 하지만 유로본드 도입에 결정적인 키를 쥐고 있는 독일의 상황이 녹록지 않다. 금융위기 이후 고공행진을 했던 경제 성장률도 꺾였고, 집권당이 연달에 선거에서 쓴잔을 마시는 등 유로본드 도입이라는 결단을 내리기에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의 정치적 입지가 탄탄하지 못하다.
이탈리아는 12~13일 이틀간 179억 9000만 유로어치 국채 발행에 성공, 15일 만기가 도래하는 국채 145억 유로는 문제 없이 막을 수 있는 상황이다. 저축률, 경상수지 등 모든 상황이 그리스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양호하지만 지금처럼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할 때는 언제 위기를 맞게 될지 모른다. 특히 그리스가 디폴트를 선언하게 되면 이탈리아를 비롯한 다른 남유럽 국가들이 줄줄이 디폴트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한편 프랑스 주요 은행의 신용등급 하락 영향으로 국내 은행들의 신용위기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국내 은행의 부도위험을 나타내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도 급등세다. 국민은행의 CDS 프리미엄은 지난 9일 174.3bp(1bp=0.01%)에서 13일 189.6bp로 올랐고 우리은행의 CDS 프리미엄도 같은 기간 190.0bp에서 200.7bp로 상승했다. 그러나 금융권에서는 유럽 신용위기가 국내 은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은행이 프랑스 및 남유럽 은행에 빌려준 돈이 미미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다만 글로벌 채권 발행이 활발한 수출입·산업은행은 유럽에 자금 노출(익스포저)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나길회·정서린·오달란기자
kkirina@seoul.co.kr
2011-09-1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