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대 공립대학인 캘리포니아주립대 이사회가 친이스라엘 성향이 강한 유대인 학생을 학생 이사로 선출해 몸살을 앓고 있다.
이 대학 이사회는 지난해에는 이스라엘에 적대적인 태도의 이슬람교도 학생을 학생 이사로 뽑아 유대계의 반발을 산 바 있어 2년 연속 학생 이사 선출을 놓고 시끄럽다.
17일(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타임스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립대(UC) 이사회는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경제학 전공 학부생인 아브라함 아비 오베드를 학생 이사로 선임했다.
캘리포니아 주립대 이사회는 교수, 교직원, 학생 등 대학 구성원 대표를 참여시키고 있다.
오베드의 학생 이사 선임은 팔레스타인계의 반발을 불렀다.
팔레스타인계 등은 특히 오베드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에 대한 군사적, 정치적 탄압 정책을 지지하는 유대계 사업가의 후원을 받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UCLA 학부생 학생회 부회장을 지낸 오베드는 UCLA 유대인 학생회와 미국 유대인 대학생 연합조직인 ‘힐렐’ 회원이기도 하다.
’팔레스타인에 정의를’이라는 이스라엘 반대 학생 단체는 오베드가 이슬람교도에게 위해가 되는 견해를 밝힌 바 있고 이스라엘 정부를 지원하는 사업가 애덤 밀스타인과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오베드는 밀스타인의 돈을 받은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밀스타인 역시 성명을 통해 오베드의 학생 이사 선출을 환영한다면서도 오베드에게 돈을 준 적은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자신은 이슬람교도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이스라엘을 지지할 뿐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오베드가 활동하는 ‘힐렐’ UCLA 지회에는 밀스타인이 상당액을 기부했으며 ‘힐렐’ UCLA 지부는 오베드를 포함한 유대계 학생회 지도자들을 재정적으로 지원했다.
일부 학생들은 오베드에 대한 의혹이 말끔히 해소되기 전에는 학생 이사 취임을 보류하자고 주장했다.
이들은 ‘(오베드는) 우리 학생 대표가 아니다’라는 팻말을 들고 이사회 회의장 앞에서 침묵시위도 벌였다.
캘리포니아 주립대 이사회는 지난해에는 버클리 캘리포니아주립대(UC 버클리) 학부생 사디아 사이푸딘을 학생 이사로 뽑았다.
이슬람교도로는 첫 캘리포니아 주립대 학생 이사인 사이푸딘은 유대계의 반발을 샀다.
사이푸딘은 이사회에서 오베드의 이사 선임에 유일한 반대표를 던졌다.
사이푸딘은 여전히 오베드를 학생 이사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견해를 고수하고 있다.
논란이 일자 오베드는 중동의 정치적 상황이 캘리포니아 주립대가 당면한 각종 과제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며 “나는 대학 재정을 더 풍족하게 만들고 강의를 늘리며 교내 성폭력 방지 등에 관심이 있을 뿐”이라고 밝혔다.
이사회에서 학생 이사 선임을 담당하는 조지 키퍼 이사는 “서로 다른 견해가 공존하는 게 대학”이라면서 “사이푸딘과 오베드는 함께 일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베드는 1년 동안 이사회에서 발언권만 있을 뿐 표결권이 없는 ‘수습 이사’로 일하다 내년에는 표결권까지 지닌 정식 이사가 된다.
사이푸딘은 지난해 한 해 동안 수습을 거쳐 올해부터 정식 이사로 활동한다.
연합뉴스
이 대학 이사회는 지난해에는 이스라엘에 적대적인 태도의 이슬람교도 학생을 학생 이사로 뽑아 유대계의 반발을 산 바 있어 2년 연속 학생 이사 선출을 놓고 시끄럽다.
17일(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타임스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립대(UC) 이사회는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경제학 전공 학부생인 아브라함 아비 오베드를 학생 이사로 선임했다.
캘리포니아 주립대 이사회는 교수, 교직원, 학생 등 대학 구성원 대표를 참여시키고 있다.
오베드의 학생 이사 선임은 팔레스타인계의 반발을 불렀다.
팔레스타인계 등은 특히 오베드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에 대한 군사적, 정치적 탄압 정책을 지지하는 유대계 사업가의 후원을 받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UCLA 학부생 학생회 부회장을 지낸 오베드는 UCLA 유대인 학생회와 미국 유대인 대학생 연합조직인 ‘힐렐’ 회원이기도 하다.
’팔레스타인에 정의를’이라는 이스라엘 반대 학생 단체는 오베드가 이슬람교도에게 위해가 되는 견해를 밝힌 바 있고 이스라엘 정부를 지원하는 사업가 애덤 밀스타인과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오베드는 밀스타인의 돈을 받은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밀스타인 역시 성명을 통해 오베드의 학생 이사 선출을 환영한다면서도 오베드에게 돈을 준 적은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자신은 이슬람교도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이스라엘을 지지할 뿐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오베드가 활동하는 ‘힐렐’ UCLA 지회에는 밀스타인이 상당액을 기부했으며 ‘힐렐’ UCLA 지부는 오베드를 포함한 유대계 학생회 지도자들을 재정적으로 지원했다.
일부 학생들은 오베드에 대한 의혹이 말끔히 해소되기 전에는 학생 이사 취임을 보류하자고 주장했다.
이들은 ‘(오베드는) 우리 학생 대표가 아니다’라는 팻말을 들고 이사회 회의장 앞에서 침묵시위도 벌였다.
캘리포니아 주립대 이사회는 지난해에는 버클리 캘리포니아주립대(UC 버클리) 학부생 사디아 사이푸딘을 학생 이사로 뽑았다.
이슬람교도로는 첫 캘리포니아 주립대 학생 이사인 사이푸딘은 유대계의 반발을 샀다.
사이푸딘은 이사회에서 오베드의 이사 선임에 유일한 반대표를 던졌다.
사이푸딘은 여전히 오베드를 학생 이사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견해를 고수하고 있다.
논란이 일자 오베드는 중동의 정치적 상황이 캘리포니아 주립대가 당면한 각종 과제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며 “나는 대학 재정을 더 풍족하게 만들고 강의를 늘리며 교내 성폭력 방지 등에 관심이 있을 뿐”이라고 밝혔다.
이사회에서 학생 이사 선임을 담당하는 조지 키퍼 이사는 “서로 다른 견해가 공존하는 게 대학”이라면서 “사이푸딘과 오베드는 함께 일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베드는 1년 동안 이사회에서 발언권만 있을 뿐 표결권이 없는 ‘수습 이사’로 일하다 내년에는 표결권까지 지닌 정식 이사가 된다.
사이푸딘은 지난해 한 해 동안 수습을 거쳐 올해부터 정식 이사로 활동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