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아시안게임 폐막식을 계기로 이뤄진 북한 고위급 대표단의 전격 방남 및 남북 고위급 접촉에 대해 미국, 중국, 일본도 큰 관심을 나타냈다.
미국 국무부는 지난 4일(현지시간) 대변인실 논평을 통해 “우리는 남북 관계 개선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워싱턴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북한이 고립을 탈피하기 위해 대외 관계를 다변화하려는 시도의 일환”이라고 분석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이날 성명을 내고 “남북 고위급 대화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반 총장은 “남북이 조만간 2차 고위급 회담을 하기로 합의한 것은 고무적”이라며 “남북이 앞으로도 한반도의 평화와 비핵화를 위해 긍정적인 모멘텀을 계속 만들어 가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중국 언론들은 북한이 남한에 대화 재개 신호를 보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관영 차이나데일리는 5일 “북한 고위급의 방문은 북측이 남북 대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으며 남북 간 긴장 완화를 위한 새로운 장을 열고 싶다는 뜻을 피력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특히 “이번 방문은 북측이 10·4선언을 몸소 실천한 것”이라며 10·4선언 7주년과 관련 있다고 해석했다. 북한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지난 2일 성명을 내고 “역사적인 6·15와 10·4선언은 남북 관계 발전의 출발점이며 시금석”이라고 주장했는데, 북한이 이번 방문을 통해 10·4선언에 대한 성실한 이행 의지를 피력했다는 것이다.
일본 언론들은 “남북 교섭을 재개함과 동시에 협상 주도권을 잡으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아사히신문은 “인천아시안게임 폐막식 참석을 명목으로 고립을 탈피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향후 남북 관계의 주도권을 쥐고 북·미 관계도 움직여 보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중국과의 관계가 냉각되고 대미 관계에서도 타개책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일본, 러시아에 이어 한국에도 접근해 고립을 탈피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핵, 미사일 개발을 계속하면서 경제적 실리만을 노리는 북한에 대한 한국의 경계심이 강해 남북 관계 개선으로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고 덧붙였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미국 국무부는 지난 4일(현지시간) 대변인실 논평을 통해 “우리는 남북 관계 개선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워싱턴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북한이 고립을 탈피하기 위해 대외 관계를 다변화하려는 시도의 일환”이라고 분석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이날 성명을 내고 “남북 고위급 대화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반 총장은 “남북이 조만간 2차 고위급 회담을 하기로 합의한 것은 고무적”이라며 “남북이 앞으로도 한반도의 평화와 비핵화를 위해 긍정적인 모멘텀을 계속 만들어 가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중국 언론들은 북한이 남한에 대화 재개 신호를 보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관영 차이나데일리는 5일 “북한 고위급의 방문은 북측이 남북 대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으며 남북 간 긴장 완화를 위한 새로운 장을 열고 싶다는 뜻을 피력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특히 “이번 방문은 북측이 10·4선언을 몸소 실천한 것”이라며 10·4선언 7주년과 관련 있다고 해석했다. 북한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지난 2일 성명을 내고 “역사적인 6·15와 10·4선언은 남북 관계 발전의 출발점이며 시금석”이라고 주장했는데, 북한이 이번 방문을 통해 10·4선언에 대한 성실한 이행 의지를 피력했다는 것이다.
일본 언론들은 “남북 교섭을 재개함과 동시에 협상 주도권을 잡으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아사히신문은 “인천아시안게임 폐막식 참석을 명목으로 고립을 탈피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향후 남북 관계의 주도권을 쥐고 북·미 관계도 움직여 보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중국과의 관계가 냉각되고 대미 관계에서도 타개책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일본, 러시아에 이어 한국에도 접근해 고립을 탈피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핵, 미사일 개발을 계속하면서 경제적 실리만을 노리는 북한에 대한 한국의 경계심이 강해 남북 관계 개선으로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고 덧붙였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2014-10-06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