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보석·위스키·성형수술 중·한·인도에서 매출 급성장
중국, 한국, 인도가 세계 ‘허영소비’(사치성 소비) 시장을 주도한다는 보고서가 나왔다.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3일 전 세계 허영소비를 분석한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 보고서를 인용, “각 부문의 소비가 주춤한 가운데도 허영소비가 연평균 6%씩 성장하는 가장 큰 요인은 중국과 한국, 인도의 사치시장이 지칠 줄 모르고 팽창하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보고서는 허영소비로 고급시계, 명품 의류 및 신발, 보석, 명품 가방, 고급 와인 및 위스키, 자가용 비행기 및 요트, 해외 조기 유학, 고급 화장품, 성형 수술 등을 꼽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중국의 허영소비는 매년 15.6%씩 커져 지난해 기준으로 6610억 달러(약 715조원)에 이르렀다. 전 세계 허영소비 규모는 4조 5000억 달러였다. 보고서는 한국의 허영소비 총액은 집계하지 않았지만, 한국의 명품 의류·신발 소비는 매년 18.4%씩 성장해 전 세계 성장률 4%를 훨씬 능가한다고 분석했다. 메릴린치의 자산 전략가 어제이 카푸르는 “중국과 인도에서는 보석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고 한국은 고급 위스키 소비량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고 말했다.
허영소비가 불황을 모르는 것은 경기 침체와 무관하게 고소득층 소득이 늘어나고 온라인 쇼핑몰이 발달해 가격 및 스타일 비교가 쉬워졌으며 유행의 주기가 짧아졌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결혼 연령이 높아져 주택 구입 시기가 늦춰진 점도 젊은 층의 허영소비를 부추겼다. 보고서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한국과 중국에서는 노년층이 대부분의 부를 장악하고 있어 보톡스와 같은 ‘황혼 허영소비’가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4-2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