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계주 3000m 결승전에서 실격을 당한 중국의 반발이 계속되자 국제빙상연맹(ISU)이 중국의 반칙 모습의 사진을 전격 공개했다. ISU는 21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20일 강릉 아이스아레나에서 열린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결승전에서 심판진이 중국과 캐나다에 페널티를 부과한 것에 대한 사진을 공개하기로 결정했다. 이 문제와 관련 더 이상의 언급은 없을 것(No further comment will be given on this matter)”이라고 밝혔다.
중국 선수가 레인을 바꿔 한국 선수 최민정의 진로를 방해하는 모습.ISU 캡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중국 선수가 레인을 바꿔 한국 선수 최민정의 진로를 방해하는 모습.ISU 캡처
이와 함께 ISU는 총 3장의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에는 직선과 녹색 및 붉은색 화살표를 통해 중국과 캐나다의 반칙 장면이 구체적으로 지목돼 있다.
ISU가 공개한 첫 번째 사진에는 판커신(중국)이 최민정을 몸으로 밀고 있는 장면이 담겨있으며, 바깥 레인에서 달리던 중국이 안쪽 레인이던 한국의 레인을 침범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빨간 선이 그어져있다.
ISU는 “중국이 마지막 주자와 교대할 때, 무리한 레인 변경을 시도하면서 안쪽 레인에 있던 한국 선수의 진로를 방해했다”고 설명을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붉은 화살표의 캐나다 선수는 주자가 아니면서도 선ㄷ수들의 레이스를 방해하는 장면. ISU캡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붉은 화살표의 캐나다 선수는 주자가 아니면서도 선ㄷ수들의 레이스를 방해하는 장면. ISU캡처
또한 최민정과 판커신이 결승선을 통과하기 직전 캐나다의 마지막 주자가 아닌 킴 부탱(캐나다)이 이들의 옆에 바짝 붙어있는 모습이 담긴 사진도 공개했다.
ISU는 “계주에서는 팀의 모든 선수가 페널티를 받을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캐나다의 경우 해당 릴레이 주자가 아닌 선수가 결승선 근처에서 트랙 라인을 넘어 상대를 방해했다”고 밝혔다.
ISU가 경기 리뷰에 이어 반칙 장면이 담긴 사진까지 공개한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다. 여자 계주 결승전 이후 중국의 계속된 반발로 인한 결정으로 보인다.
이미지 확대
붉은 화살표 선수(주자가 아님)가 레이스를 방해하는 모습. ISU캡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붉은 화살표 선수(주자가 아님)가 레이스를 방해하는 모습. ISU캡처
중국은 결승전에서 한국에 이어 2위로 결승선을 통과했으나 페널티를 받아 실격되면서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이에 경기에 출전했던 판커신은 경기 결과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판정에 불만을 제기했다.
이후 중국 누리꾼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마지막 주자였던 최민정의 소셜미디어에 악플을 다는 등 경기 결과에 대한 보복성 행동이 이어졌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