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법원에 국방사업 수주 개입 관련, 대통령 청문회 요청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서울신문 DB
아마존은 미국 연방법원에 트럼프 대통령과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에 대한 청문회를 요청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0일(현지시간) 전했다. 아마존은 국방부의 100억 달러(약 11조 8400억원) 규모 클라우드 사업 수주 실패가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에게 악감정을 품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국방부에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트럼프 대통령이 국방부 사업에 개입했는지 판단하기 위해 두 사람의 청문회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아마존은 국방부의 ‘합동 방어 인프라 사업(JEDI)’ 입찰에 참여했다. JEDI는 국방부 및 산하 군 기관에 클라우드 컴퓨팅 체계를 도입하는 사업으로 사업기간 10년에 100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프로젝트다. 업계에서는 아마존의 수주 가능성을 크게 봤다. 클라우드 시장에서 아마존의 점유율은 48%로 압도적인데다 기술과 경험 측면에서도 아마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해 7월 트럼프 대통령이 사업자 선정 재검토를 지시한 뒤 기류가 바뀌었고, 국방부는 지난해 10월 마이크로소프트를 계약자로 선정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펜타곤과 아마존의 계약에 대해 엄청난 항의를 받고 있다”면서 “그들에게 어떻게 돌아가는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아마존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JEDI의 사업자 선정에 부당한 압력을 행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아마존은 이날 “문제는 미국 대통령이 국방부 예산을 자신의 사적·정치적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사용해도 되느냐 하는 것”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대통령 겸 군통수권자의 권한을 연방 조달사업 등에 행사할 의향을 수차례 내비쳤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베이조스 CEO는 지난 대선인 2016년부터 아마존을 비롯한 미 IT 업계의 친민주당 성향과 베이조스 CEO가 소유한 워싱턴포스트(WP)의 ‘반(反) 트럼프’ 성향 때문에 갈등을 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마존은 소매상에 손해를 끼치고 일자리를 빼앗아 간다”고 수차례 비판했고, WP에 대해서도 ‘가짜뉴스’라고 비난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