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친구 맞나, 글쎄?”… 고개 가로젓는 유럽

“美, 친구 맞나, 글쎄?”… 고개 가로젓는 유럽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2-11-27 18:02
수정 2022-11-28 05: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크라전으로 LNG·무기류 구매
“가격까지 올라 엄청난 폭리” 불만

IRA로 산업계마저 벼랑끝 내몰아
한국과 공조로 이어질 가능성 촉각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2022.11.16 AF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2022.11.16 AFP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럽이 값비싼 가격에 미국의 액화천연가스(LNG)·무기류를 구매할 수밖에 없는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으로 유럽 산업계마저 벼랑에 내몬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26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은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무기류와 LNG 가격을 인상해 폭리를 취하고 있다고 비난한다”고 보도했다.

러시아산 LNG 수입이 힘든 유럽은 최근 미국산 수입을 크게 늘렸지만 미국 내 가격의 4배를 부담하고 있다. 또 유럽은 그간 쌓아 둔 무기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하면서, 미국에서 부족분을 구매해 채워야 한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유럽이 지금까지 지원한 무기는 프랑스 1년 국방 예산에 해당하는 약 400억 달러(약 53조 5000억원) 상당이다.

여기에 IRA가 결정적으로 분노의 도화선이 됐다. 한 EU 외교관은 폴리티코에 “IRA는 모든 것을 바꿔 놓았다. 워싱턴은 여전히 우리의 동맹인가”라고 말했다. 이번 사안이 서방 내 균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다. 전날 발디스 돔브로우스키스 EU 집행위원회 통상담당 집행위원은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무역 분야 회의 후 “우리가 원하는 건 공정”이라며 “유럽에서 미국 기업이 대우받는 것과 똑같이 미국에서 유럽 기업들이 대우받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IRA는 중국을 겨냥한 법이지만 북미에서 최종 조립된 전기차에 대해서만 7500달러(1000만원)의 세액공제를 제공하는 등의 조치로 한국, 유럽, 일본 자동차 업계도 피해를 보고 있다.

IRA에 대한 유럽의 분노가 커지면서 한국 등과의 공조로 이어질 가능성에도 눈길이 쏠린다. 한국처럼 유럽도 미국 기업에만 주는 미 정부의 보조금이 세계무역기구(WTO)의 통상 규범에 어긋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현재 한국은 이보다 먼저 북미산 최종 조립 기준의 완화, 독소 조항의 3년 유예, 렌트·리스 차량의 보조금 차별 해소 등 구체적 대안을 미국에 제안한 상태여서 아직은 WTO 공동 제소 등이 논의될 단계가 아니다.



또 유럽은 한국과 달리 미국 기업에 대한 직접 보복이 가능한 ‘규모의 경제’를 갖고 있다. 프랑스와 독일은 대미 협상에서 성과가 없으면 유럽 산업을 보호할 조치를 마련하겠다고 지난 22일 경고했다. 다만 유럽 역시 에너지·무기 등의 대미 의존도가 크게 높아졌다는 점에서 미국과의 일대일 충돌을 꺼릴 가능성도 있다. 이런 시각에서 한미 간 협상이 성과 없이 끝난다면 한·EU 간 공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도 있다.
2022-11-2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