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시욕이 주도”… 韓 1인당 명품 지출 세계 1위

“과시욕이 주도”… 韓 1인당 명품 지출 세계 1위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3-01-15 09:50
수정 2023-01-15 16: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의 6배… 미국보다 지출 많아
이미지 확대
샤넬 글로벌 앰배서더인 블랙핑크 제니. 샤넬 공식 인스타그램 캡처
샤넬 글로벌 앰배서더인 블랙핑크 제니. 샤넬 공식 인스타그램 캡처
지난해 한국의 1인당 명품 지출액이 세계 1위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4일 미국 CNBC방송에 따르면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지난해 한국의 명품 판매규모가 전년보다 24% 증가한 168억 달러(약 20조 8000억원)라고 밝혔다.

이를 1인당 지출로 환산하면 325달러(약 40만원)로 미국(280달러), 중국(55달러) 등과 비교해 월등히 높다.

모건스탠리는 보고서를 통해 “외모와 재정적 성공은 대부분의 다른 나라들보다 한국의 소비자들에게 더 큰 반향을 일으킬 수 있다”라고 설명하면서 한국의 명품 수요가 구매력 증가와 함께 사회적 지위를 대외적으로 과시하려는 욕구에 의해 주도된다고 설명했다.

모건스탠리는 명품 업체들이 한국 수요를 촉진하기 위해 유명 연예인을 홍보대사로 쓰고 있다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서울 강남구 갤러리아백화점 명품관 이스트 외관 전경. 갤러리아백화점 제공
서울 강남구 갤러리아백화점 명품관 이스트 외관 전경. 갤러리아백화점 제공
아웃도어 제품으로 유명한 몽클레어는 한국 매출이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2배 이상 올랐다고 밝혔다.

까르띠에의 소유주인 리치몬트 그룹은 한국은 2022년 매출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한 거의 유일한 지역이라고 했다.

프라다의 경우 중국에서는 코로나19 전면 봉쇄로 판매가 7% 감소했지만, 한국과 동남아 지역의 실적 호조로 선방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맥킨지는 명품 과시를 부정적으로 본다는 비율이 일본과 중국에서는 각각 45%, 38%였지만 한국은 22%로 낮았다고 분석했다.

다만 명품 시장은 타깃 수요층이 한정적이란 점에서 1인당 지출액으로 평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컨설팅업체 베인앤드코의 웨이웨이 싱은 “명품에 대한 각국 소비지출을 보려면 중산층 이상 인구로 나누는 것이 더 의미있다”고 짚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