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협상 타결 땐 관계 개선”
“이란과도 외교관계 정상화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53년 만에 국교를 정상화하겠다고 선언한 쿠바에 이어 핵 협상을 벌이고 있는 이란과의 관계 정상화 가능성을 시사해 주목된다. 임기 2년을 남긴 오바마 대통령이 외교정책에서 잇따라 승부수를 띄우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마지막 남은 ‘불량 국가’인 북한과의 관계 설정 향방에도 관심이 쏠린다.
오바마 대통령은 미 공영라디오 NPR가 29일(현지시간) 방송한 인터뷰에서 이란과의 외교관계 정상화 가능성에 대해 “불가능하다고 말하지 않겠다”며 “이란과의 핵 협상이 타결된다는 전제하에 관계가 개선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미국은 테헤란 주재 미 대사관 난입 인질 사건 직후인 1980년 4월 이란과 국교를 단절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란과 관계 개선이 되려면 핵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며 “그렇게 될 기회는 있지만 이란이 그 기회를 잡을 의지가 있는지가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란에 대해 “국가 차원의 테러행위 지원 이력을 가진 크고 복잡한 나라”로 평가하면서도 “그러나 미국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판단할 때 ‘불량 정권’과도 만날 수 있다는 생각은 2007년 대선에 나섰을 때나 지금이나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또 다른 불량 정권인 북한과의 관계는 소니 해킹 사태가 찬물을 끼얹었지만 새해 모종의 움직임이 있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오바마 대통령이 이란과의 관계 정상화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미 정치권에서는 핵 협상 향방에 따라 새해 의회가 시작되면 추가 제재 법안을 통과시키려는 움직임도 있어 오바마 대통령과의 마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4-12-31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