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라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이 11일(현지시간) ‘역사적 회동’을 가졌다.
미국과 쿠바 정상의 만남은 피델 카스트로가 쿠바 혁명을 일으키기 3년 전인 1956년 이후 무려 59년 만이자 1961년 양국이 국교를 단절한 이후 54년 만이다.
그러나 두 나라 사이의 외교관계 정상화는 여전히 속도조절과 탐색 국면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
지난 2월 양국간 2차 고위당국자 협상에서 쟁점이 됐던 쿠바의 테러지원국 해제 문제가 1958년 이후 처음으로 두 나라 정상간의 정식 대화가 이뤄진 뒤에도 여전히 모호한 상태로 남았기 때문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오후 미주기구(OAS) 정상회의 참석차 방문한 파나마에서 카스트로 의장과 따로 만나 1시간여동안 대화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자리에 앉은 직후 “명백히 역사적인 만남”이라며 “새로운 일을 해나가야 한다는 것이 나의 신념이다. 쿠바 정부와 쿠바 국민과 함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구시대의 한 장(章)을 넘겨야 한다”며 쿠바와의 국교정상화 의지를 강력히 밝혔다.
카스트로 의장은 이에 대해 ”쿠바의 인권과 언론의 자유에 관해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고 화답하면서도 “모든 것이 의제가 될 수 있지만 양국 간 차이는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 AFPBBNews=News1/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미국과 쿠바 정상의 만남은 피델 카스트로가 쿠바 혁명을 일으키기 3년 전인 1956년 이후 무려 59년 만이자 1961년 양국이 국교를 단절한 이후 54년 만이다.
그러나 두 나라 사이의 외교관계 정상화는 여전히 속도조절과 탐색 국면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
지난 2월 양국간 2차 고위당국자 협상에서 쟁점이 됐던 쿠바의 테러지원국 해제 문제가 1958년 이후 처음으로 두 나라 정상간의 정식 대화가 이뤄진 뒤에도 여전히 모호한 상태로 남았기 때문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오후 미주기구(OAS) 정상회의 참석차 방문한 파나마에서 카스트로 의장과 따로 만나 1시간여동안 대화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자리에 앉은 직후 “명백히 역사적인 만남”이라며 “새로운 일을 해나가야 한다는 것이 나의 신념이다. 쿠바 정부와 쿠바 국민과 함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구시대의 한 장(章)을 넘겨야 한다”며 쿠바와의 국교정상화 의지를 강력히 밝혔다.
카스트로 의장은 이에 대해 ”쿠바의 인권과 언론의 자유에 관해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고 화답하면서도 “모든 것이 의제가 될 수 있지만 양국 간 차이는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 AFPBBNews=News1/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