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핵심 측근인 리수용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 2일 오후 2박 3일간의 방중 일정을 마치고 귀국했다. 전날 열린 리 부위원장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면담은 중국 내부에서도 다양한 평가를 낳고 있다. 서울신문은 중국의 대표적인 북·중 관계 전문가 4인과 전화 인터뷰를 갖고 향후 전망을 들었다. 이들은 대체로 “북·중 관계가 이번 면담만으로는 크게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스인훙(時殷弘) 인민대 국제관계대학원 원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스인훙(時殷弘) 인민대 국제관계대학원 원장
●스인훙(時殷弘) 인민대 국제관계대학원 원장 북한은 리 부위원장이 방중한 당일에도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실험을 했다. 북한은 핵을 포기하지 않은 채 중국과 관계 개선을 시도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중국은 북한이 핵에 대한 입장을 바꿔야 관계 개선이 이뤄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런 상태가 계속되면 중·북 관계는 장기적으로 더 혹독한 상태에 접어들 수 있다. 양측 모두 교착상태 탈피의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에 면담이 성사됐다. 그러나 북한은 별다른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중국은 현재의 유엔 제재를 충실히 이행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 획기적인 관계 개선과 김 위원장의 방중은 현재로선 불가능하다.
김동길 베이징대 역사학과 교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동길 베이징대 역사학과 교수
●김동길 베이징대 역사학과 교수 당의 주요 행사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특사를 파견하는 것은 양국의 오랜 전통이다. 중국도 미국이 주도하는 동북아 질서에 약간의 환기를 시키기 위해 북한 대표단을 흔쾌히 받아들였다. 그러나 북·중 관계는 지금과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북한은 중국을 끌어들여 유엔 제재 전선에 균열을 내려고 했겠지만, 중국은 자기 면전에서 핵·경제 병진 노선을 일방적으로 통보한 북한을 한국과 미국의 반발을 사면서까지 도와줄 이유가 전혀 없다. 면담 시간이 20여분이었는데, 통역 시간을 빼면 사실상 10분이다. 서로 일방적으로 할 얘기를 하고 헤어진 것이지, 특별한 돌파구를 마련한 것이 아니다. 북·중 관계의 변화 가능성보다는 오히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이 임기 막판 미·중 대화를 꾀할 가능성이 더 크다.
진창룽(金燦榮)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부원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진창룽(金燦榮)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부원장
●진창룽(金燦榮)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부원장 시 주석과 리 부위원장의 면담 자체에 큰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다. 중국은 언제나 북한과의 정상적 관계 복원을 바랐다. 문제는 면담 이후 북한이 변하느냐에 달렸다. 중국은 리 부위원장 방문만을 가지고 섣불리 결론 내리지 않을 것이며, 한반도 비핵화 노선을 계속 견지할 것이다. 김정은의 방중도 당분간 이뤄지지 않을 것이다.
류장융(劉江永) 칭화대 국제관계연구원 부원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류장융(劉江永) 칭화대 국제관계연구원 부원장
●류장융(劉江永) 칭화대 국제관계연구원 부원장 이번 면담은 양국 관계에 긍정적인 신호를 줬다. 중국은 한국과 계속해서 전면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동시에 북한과의 관계 개선도 추진할 것이다. 북한이 비록 핵 문제와 관련해 본인들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서지 않을 수도 없을 것이다. 중국 역시 북한 발전에 도움을 줄 의지는 충분하다. 중국과 북한은 전통적인 우호국가이다. 제7차 노동당 대회 이후 김 위원장이 정식 국가 지도자가 됐기 때문에 가급적 빨리 중국을 방문해야 한다. 김 위원장의 방중이 성사되고 한국과 북한의 고위층 교류도 회복되어야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의 안정이 이뤄질 수 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06-0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