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드배치 공식발표, 중국반발 격화 예상
정부가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배치지역을 공식 발표한 13일 서울 명동 중국대사관에서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가 펄럭이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는 한미 양국이 지난 8일 주한미군 사드배치 결정을 발표한 직후 반발과 함께 사드배치 절차를 중단하라고 한목소리로 요구한 바 있다. 2016.7.13 연합뉴스
류전민(劉振民) 외교부 부부장은 13일 기자들을 만나 중국이 남중국해 위로 방공식별구역을 선언할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은 그렇게 할 권리가 있다”며 “동중국해 상공으로도 방공식별구역을 이미 설정한 바 있다”고 말했다.
류 부부장은 중국이 다른 국가로부터 위협을 받는다는 것을 설정의 조건으로 설명했다.
그는 “만약 우리 안보가 위협을 받는다면 물론 우리는 그런 구역을 설정할 권한이 있다”며 “설정은 (위협에 대한) 중국의 종합적인 조사를 토대로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류 부부장은 다른 국가가 네덜란드 헤이그 상설중재재판소(PCA) 판결을 중국을 위협할 기회로 삼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는 “우리는 남중국해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다른 국가들이 중국과 협력하기를 바랄 뿐 남중국해가 전쟁의 원인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동중국해 상공에 중국이 설정한 방공식별구역은 미국과 다른 국가들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중국이 남중국해에 방공식별구역을 획정하면 영유권을 둘러싼 이 지역의 긴장이 심각하게 고조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