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백신 개발 가시화된 가운데 영국 정부 선점 계약 맺어

AFP 연합뉴스
코로나19에서 회복된 환자들로부터 기증받은 혈장 샘플. 이 혈장 샘플은 코로나19 항체 형성 관련 연구에 쓰인다. 2020.6.1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5일 세계보건기구(WHO)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등은 코로나19 백신이 전 세계 공중 보건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여러 국가에서 자기네 나라가 처음 백신을 사용해야 한다며 제약 회사와 협상을 벌이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대와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 중인 코로나 백신은 9월 중 영국에서 사용 가능 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정부는 지난달 개발사와 협상을 통해 3000만개의 백신을 확보하고, 이어 7000만개의 백신을 받기로 했다. 미국 정부도 백신 개발 기금을 조성한 대가로 3억개의 백신을 받기로 했다.
이달 초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는 백신 연맹을 결성하고 개발을 가속화했다. 이들 국가는 제약회사가 만든 모든 제품은 유럽연합(EU) 내에서 사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캐나다, 브라질, 아랍 에미리트도 중국 회사에서 개발된 임상 시험 3단계의 백신을 도입하기로 합의했다.
칸시노, 바이오로직스, 시노백 바이오테크, 중국생물기술유한공사 등 중국 제약사는 모두 중국 내 확진자 숫자가 너무 적어서 임상시험을 진행할 수 있는 국가를 찾아야만 한다.
빌앤멜린다 재단의 기여로 운영되고 있는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의 책임자인 장리는 “코로나 백신의 개발, 제조, 조달 그리고 관리에 있어 가장 피해야 할 것은 소위 백신 민족주의”라고 지적했다.
그는 “만약 세계 각국이 모든 제약회사와 지금 상호 계약을 맺으려 든다면 저개발국가는 백신을 확보하지 못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장은 이어 가장 중요한 일은 모든 국가의 수요와 제조사의 생산 능력을 통합해서 백신 생산 및 분배 계획을 짜는 것이며 이는 상호 또는 단방향협력보다 훨씬 낫다고 덧붙였다.
백신은 노령층과 의료계 종사자들에게 먼저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 빌앤멜린다 재단 측의 생각이다. 리위눠 빌앤멜린다재단의 책임자는 “백신이 모든 사람에게 하루 만에 면역력을 줄 수는 없을 것”이라며 “하지만 통제 가능한 시간 안에 백신 대량 생산이 가능한 기술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