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힐즈버러 진상조사위원회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1989년 3월 15일 힐즈버러 참사에 희생된 96명의 얼굴들. 당시 경기장 안전을 책임졌던 데이비드 듀켄필드 경찰서장의 과실치사 혐의에 대해 28일 재심 결과 무죄가 선고돼 진상 규명 및 책임자 처벌에 차질을 빚게 됐다.
힐즈버러 진상조사위원회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힐즈버러 진상조사위원회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1989년 3월 15일(이하 현지시간) 리버풀과 노팅엄의 잉글랜드 축구협회(FA)컵 준결승이 열린 영국 사우스요크셔주 셰필드의 힐즈버러 경기장에서 압사 사고가 일어나 96명이 숨지고 766명이 다쳐 세계 스포츠 역사에 최악의 참사 가운데 하나로 기록됐다. 이미 입석 관중석이 가득 차 더 이상 사람을 들이면 안 됐는데 경찰은 늦게 도착한 리버풀 팬들을 무리하게 밀어넣어 무수한 인명 피해를 낳았다.
참사 후 23년이 지나서야 진상 조사 보고서가 갈무리됐고, 27년이 지나 경찰 과실이란 판결이 나왔지만 두켄필드 전 서장에 대한 원심은 올해 초에야 마무리됐다. 배심원들은 하나의 결론을 내리지 못해 아무런 선고도 하지 못했다. 과연 그렇게 수많은 이들의 희생에 경찰서장이 얼마 만큼 법적 책임을 지는 게 마땅한지에 대해 결론을 모으지 못했다.
그런데 28일 프레스톤 왕실법원은 7주의 재심 심리를 모두 마무리하고 듀켄필드의 95명에 대한 과실치사 혐의를 무죄라고 판결했다고 BBC가 전했다. 96번째 희생자 토니 블란드는 참사 1년 하루 뒤 숨져 기소될 때 희생자 명단에서 빠졌다.

PA 미디어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28일 재심 경과 무죄가 선고된 참사 당시 사우스요크셔 경찰서장 데이비드 두켄필드.
PA 미디어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PA 미디어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당시 열여덟 살의 아들 크리스토퍼를 잃은 배리 데본사이드는 “배심원 평결을 듣는 순간 충격을 받아 온몸이 얼어붙었다. 우리 가족들은 30년을 싸웠는데”라고 허탈해 했다. 반면 더켄필드의 변호인 벤저민 마이어스는 의뢰인을 기소한 것부터 불공정했으며 비난 거리 찾기에 불과했다며 참사에는 수많은 이들의 잘못이 있어 빚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힐즈버러 참사는 우리네 세월호 참사처럼 사회적 참사의 성격을 띠고 있다. 참사 당시 생존자이자 사회학자 앤 에이어(55)가 피해자연합단체 ‘참사행동’ 대외 협력 담당관 자격으로 지난 21일 경기 안산에서 4·16재단이 개최한 국제포럼 ‘재난사회, 피해자 권리를 묻다’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해 서울신문 등과 인터뷰를 갖기도 했다.
사회적 참사의 진상 규명과 책임을 묻는 과정이 얼마나 지난한지를 이날 더켄필드 판결이 웅변하고 있다. 진상 조사를 위해 쓰인 돈은 6500만 파운드(약 991억원)에 이르지만 아직까지 단 한 명도 처벌받지 않았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힐즈버러 진상조사위원회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참사 당시 힐즈버러 경기장 모습.
힐즈버러 진상조사위원회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힐즈버러 진상조사위원회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