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브롤터 市로 부르게 됐다. 180년 전에 승인했는데 이제야

지브롤터 市로 부르게 됐다. 180년 전에 승인했는데 이제야

임병선 기자
입력 2022-08-29 18:35
수정 2022-08-29 18: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AFP 자료사진
AFP 자료사진
대서양과 지중해를 잇는 유일한 통로가 지브롤터 해협이다.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에 인접해 있어 주민 대다수가 스페인어를 쓰지만 엄연히 영국령 해외 식민지다. 석회암과 이판암 능선 6.8㎢에 2020년 추계로 3만 3690여명이 모여 산다. 그런데 지금껏 이 도시는 스스로를 도시로 부르지 못하고, 그냥 “바위(The Rock)”로 불려 왔다.

이제야 공식적으로 지브롤터를 시로 부를 수 있게 됐다고 영국 BBC가 29일 전했다. 빅토리아 여왕이 승인했다는 사실을 180년 뒤에야 알게 됐다. 오죽했으면 이 도시는 즉위 70주년을 맞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게 올해 초에 도시로 불리게 해달라고 청원까지 했다.

그런데 연구자들이 영국 국립문서고를 뒤져 1842년에 이미 빅토리아 여왕의 승인이 내려졌음을 확인한 것이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풍부한 역사와 역동성을 축하하는 엄청난 서훈(accolade)”이라고 호들갑을 떨었다.

지브롤터가 처음 영국의 해외영토가 된 것은 1713년이었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위트레흐트 평화조약을 맺어 스페인으로부터 할양받았다.

엘리자베스 2세 즉위 70주년을 맞아 도시로 승인받고 싶다고 신청한 곳은 모두 39곳이나 됐는데 그 중 지브롤터와 잉글랜드 동커스터, 웨일스 아니면 북아일랜드의 뱅고어, 스코틀랜드 돈펌린 등 여덟 곳이 승인 받았다.

시 명칭을 붙이는 것도 여왕의 승인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놀랍다. 예전에는 성당이나 대학, 많은 인구가 거주해야 한다는 기준이 있기도 했지만 획일화된 규정은 없다. 군주의 결정이나 각료들의 조언을 받아들여 칭호를 얻기도 했다.

물론 실질적인 이득은 별로 없고, 다만 지역사회가 지도 위에 시 표시를 해 홍보할 수 있고 주민들의 자부심을 높이는 정도다. 지브롤터 정부는 빅토리아 여왕이 칭호를 부여한 뒤 공식 목록에서 지브롤터가 제외됐는데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알 길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새로 밝혀진 목록에 따르면 81곳이 시로 공인됐는데 지브롤터는 해외 5곳 가운데 한 곳이었다. 버뮤다의 해밀턴, 세인트헬레나의 제임스타운, 만 제도의 더글러스가 이미 목록에 등재돼 있었고, 아르헨티나 포클랜드 제도의 스탠리가 올해 새롭게 시 호칭을 얻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