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꽃술을 펼친 임옥상 화가의 꽃 그림에 고은 시인의 육필 시가 짝을 이뤘다. 봄처럼 생동하는 여인의 얼굴을 담은 천경자 화백의 그림에 김훈 작가의 감상평이 따라붙는다. 오는 16~27일 수원시미술전시관에서 관객들을 맞을 전시회 ‘시여, 다시 희망을 노래하라’의 대표작들이다.
계간 열린시학, 시조시학 창간 20주년과 수원 화성 방문의 해를 기념해 열리는 이번 행사는 시로 벌이는 잔치 한마당이다. 전시뿐 아니라 인문학 강좌, 시조집 출간, 문예지 편집자 대회 등 시와 관련한 다양한 이벤트가 동시다발적으로 펼쳐진다.
같은 기간 수원시미술전시관에서는 국내 대표 시인과 미술가 20여명이 이끄는 인문학 콘서트가 함께 진행된다. 고은 시인이 ‘삶의 문학, 역사의 문학’, 도종환 시인이 ‘시에게 길을 묻다’, 안도현 시인이 ‘시의 힘과 노래’, 오세영 시인이 ‘시와 미술과의 관계’ 등을 이야기로 풀어놓는다.
우리 선조들의 가락과 숨결을 느낄 수 있는 시조의 현재를 가늠할 수 있는 ‘우리시대 현대시조’ 100인선도 출간된다. 26일 50권이 출간되고 나머지 50권은 2020년까지 완간될 예정이다. 주최 측은 우리 시조의 멋과 맛을 어린이들에게 알리기 위해 계간 ‘한국동시조’도 창간한다.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보급하고 현대 시조 창작 강의를 원하는 학교에는 선생님도 파견한다. 문의 (02)302-3194~5.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