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는 다섯살에서 열다섯살 사이다. 좋아하는 것은 베토벤 교향곡 제8번과 얼린 귤, 언젠가 박물관에서 본 토기 인형이다. 와하 와하하에 대한 짧은 소개다.
와하 와하하는 우리 눈에는 산만하고 엉뚱한 아이다. 매일 쓰는 밀짚모자가 바람에 날려 쫓아가는 걸 귀찮아하지 않고 오히려 신나한다. 그래서 바람에 더 잘 날리는 모자를 사러가는 이상한(?) 아이다.
하루는 ‘무엇’이 무엇인지를 찾아 나선다. 지평선을 향해, 사막을 건너, ‘무엇’을 찾아 헤매는 와하 와하하에게 한 할아버지는 말한다. “이 세상의 모든 것에는 벌써 이름이 있기 때문에 아마도 ‘무엇’이라는 것은 찾아낼 수 없을 거야.” 하지만 지쳐 쓰러진 그의 입에 한 소녀가 오렌지를 넣어주자 와하 와하하는 생각한다. ‘이거야말로 내가 찾던 ‘무엇’일 거야. 이 세상에서 제일 아름답고, 제일 중요한, 그 ‘무엇’ 말이야.’
와하 와하하의 모험을 따라가다 보면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세상이 뒤집힌다. 무엇이든 3초 안에 계산해낼 수 있는 계산센터지만 배추흰나비가 날아가는 속도는 계산해낼 수 없다든지, 멋진 줄무늬를 가진 호랑이가 원래는 연못에 떨어져 무지개송어에게 먹힌 호두였다든지 하는 식이다.
이렇게 12편의 짧은 글들은 딱히 기승전결이 있는 서사가 아니다. 때로는 끄적인 낙서 같은 맥락 없는 글들이지만 글에 담긴 ‘천생 아이들’의 모습은 긴 여운을 남긴다.
일본 국민 시인 다니카와 슌타로는 와하 와하하를 통해 우리가 좇고 있는 물질, 빠름 등의 가치가 과연 의미있는 것인지 되묻는다. ‘어른의 나쁜 점, 아무것도 궁금해 하지 않는다. 꽃이 피어도 그걸 당연한 줄로만 안다. 장난치지 않는다. 무언가 득이 되는 일이 아니면 꼼짝도 않는다’라는 와하 와하하의 수첩 속 글귀가 우리를 뜨끔하게 하듯. 초등 3학년부터.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