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의 월대(月臺), 경복궁 바닥에는 왜 거친 박석이 깔려 있을까. 당시 돌을 다듬는 기술이 없어서도 아니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여기에는 한국 전통 건축이 품고 있는 경이로운 비밀이 숨어 있다. 선인들은 일부러 신성한 공간이나 서원 등의 바닥을 거칠게 만들거나 계단을 쌓아 올리거나 문지방을 높였다. 몸을 낮춰 신중하게 다니며 몸가짐을 조심하라는 뜻. 이른바 ‘몸의 각성’을 위해서였다. 계단이 서양 건축에서 조형이나 기능적 요소에 그치는 것에 대면 한국 건축의 모든 장치는 몸의 감각과 감응하게 만들어진 셈이다. 건축가인 저자는 한국 건축과 서양 건축의 차이를 철학적으로 사유하며 우리 건축이 지닌 정체성과 지혜를 지금 시대에 소통 가능한 언어로 짚어 낸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11-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