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시장 공략을 위한 페이스북의 한국 지사 설립도 추진되고 있다. 이르면 올 하반기에 지사를 설립, 한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페이스북이 올해 초 일본 지사를 설립한 데 이어 가입자가 크게 확산되는 아시아 시장에 공격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미국 팰러앨토의 캘리포니아가 1601번지 페이스북 본사 내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미국 팰러앨토의 캘리포니아가 1601번지 페이스북 본사 내부
하비에르 올리번 인터내셔널 매니저는 “구체적인 시기는 말할 수 없으나 가까운 시기에 한국 지사를 설립할 계획이 있다.”고 말했다. 한국 지사는 일본 지사와 마찬가지로 기술 강화에 초점을 맞출 가능성이 높다. 페이스북 일본 지사는 언어로 인한 검색 장벽을 해소할 기술 인력을 주축으로 꾸려졌다.
●한글전용 모바일 앱 선보여
페이스북은 현재 한국인 엔지니어를 영입, 한글 이름도 완벽한 수준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기술적 보완 작업을 진행 중이다. 한국인 사용자를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도 선보였다. KT, SKT, LG U+ 등 국내 이동통신 3사뿐 아니라 삼성전자, LG전자와도 협력 논의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싸이’ 등 차세대 버전으로 대응
국내 업계에 미칠 파장도 만만치 않다. 토종 SNS인 싸이월드뿐 아니라 NHN의 단문 블로그 미투데이, ‘게임+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결합 서비스를 출시한 게임업계도 긴장하는 분위기다.
SK커뮤니케이션즈 관계자는 “페이스북의 진출 여부와 별개로 이르면 8월 중에 차세대 버전인 ‘넥스트 싸이월드’를 출시할 예정”이라며 “페이스북을 뛰어넘는 개방성과 인맥 기반의 네트워크가 통합된 SNS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싸이월드는 2008년 미국 시장에 진출했으나 문화적 장벽에 막혀 현지화에 실패했다. 같은 해 역으로 한국에 진출했던 마이스페이스도 국내 시장의 벽을 넘지 못하고 10개월 만에 철수했다.
ipsofacto@seoul.co.kr
2010-08-2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