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중부발전의 한 직원이 국내 최초로 개발된 유비쿼터스 융합형 안전모를 쓰고 있는 모습. 한국중부발전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한국중부발전의 한 직원이 국내 최초로 개발된 유비쿼터스 융합형 안전모를 쓰고 있는 모습. 한국중부발전 제공
7일 한국중부발전에 따르면 국내 최초로 유비쿼터스 융합형 안전모를 개발해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이 안전모는 일정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센서가 작동해 “괜찮으십니까”라는 음성 메시지가 3회 반복되고 착용자의 응답이 없으면 근처에 있는 동료와 사무실에 사고 발생 내용을 자동 통보하는 기능을 갖췄다.
무인비행체 드론을 안전점검에 활용해 관리의 사각지대도 없앴다. 특수 드론은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고 보일러 내부나 배관 사이처럼 설비가 밀집돼 있는 공간도 꼼꼼히 확인할 수 있다. 자체 조명과 열화상 기능도 갖춰 어두운 장소 또는 화재로 연기가 찬 상황 등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다.
중부발전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트랜드 분석을 통해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위험을 미리 감지해 모바일을 통해 경보를 발송하는 시스템도 도입했다. 온도 트랜드 감지를 통해 발전소 내에 화재 가능성이 높아지면 자동으로 경보가 울리고 진도 3.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SMS가 발송된다.
발전소 내 위기상황이 발생하면 신속한 상황 전파와 초동 대응을 위해 모든 직원의 휴대전화를 연계한 방송시스템도 구축·운영하고 있다. 사고 최초 발견자가 소지한 휴대전화로 바로 전화를 걸어 즉각적인 긴급 방송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7-12-0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