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끌시끌 이 단지]수평증축 적용 ‘개포 더샵트리에’는 되고 다른 곳은 안 된다?

[시끌시끌 이 단지]수평증축 적용 ‘개포 더샵트리에’는 되고 다른 곳은 안 된다?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4-03-01 19:19
수정 2024-03-04 11: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서울 강남구 개포동 더샵트리에 전경 서울시 리모델링 주택조합협의회 제공
서울 강남구 개포동 더샵트리에 전경
서울시 리모델링 주택조합협의회 제공
이미지 확대
시끌시끌 이 단지
시끌시끌 이 단지
지난달 28일 찾은 서울 강남구 개포동 ‘더샵트리에’. 입구에 도착하자 대형 문주와 세련된 외관이 눈길을 끌었다. 지상에는 주차된 차를 찾아볼 수 없었으며 그 자리에 정돈된 조경과 필로티 공간을 활용한 어린이집, 도서관 등 주민 공용 공간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날 서울시 리모델링 주택조합협의회(서리협)는 해당 단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성공적인 리모델링 사례를 통해 리모델링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고 정부에 규제 해소를 호소하기 위해서다.

단지는 2개동 232가구로 구성됐으며 리모델링을 통해 2021년 12월 탈바꿈했다. 1991년 건설된 개포 우성9차 아파트를 수평 증축(앞·뒤·옆 등으로 기존 가구의 면적을 늘리는 형태)해 가구수는 그대로 두고 가구당 실사용 면적을 늘렸다. 기존 가구당 전용면적은 74∼78㎡에서 121∼130㎡로 늘어났다. 시공은 포스코이앤씨가 맡았다.
이미지 확대
더샵트리에 내부 거실의 모습. 윤수경 기자
더샵트리에 내부 거실의 모습.
윤수경 기자
공사 전 해당 단지의 용적률은 249%에 달했다. 인근에 위치한 개포우성3차(179%)와 경남아파트(174%)에 비해 용적률이 높아 재건축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1층을 필로티 구조로 하고 지하 주차장을 만들면서, 기존 지하1층~지상 15층이던 단지를 지하 3층~지상 16층으로 늘렸다. 기존 가구당 0.52대에 불과했던 주차 대수도 가구당 1.31대로 크게 늘렸다. 기존에 없던 지하 주차장은 리모델링을 통해 생겼다. 먼저 땅속에 기둥과 흙막이벽을 만들어 기초를 만들고, 위에서 아래로 거꾸로 시공하는 역타공법을 적용해 안정성을 확보했다고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설명했다.

집 내부에 들어서자 천장고가 2.4~2.5m에 달하는 신축 아파트에 비해서는 다소 천장이 낮게 느껴졌지만, 우물 천장을 적용해 2.3m 천장고를 확보하면서 답답한 느낌은 들지 않았다. 베란다를 확장하고 거실과 주방을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했다. 또한 기존 평면의 거실에서 뒤쪽에 있던 엘리베이터 공간까지 확장했다. 리모델링 하면 늘 언급되는 ‘동굴형’(2베이의 길쭉한 형태) 평면을 벗어나기 위한 흔적이 보였다.
이미지 확대
개포동 더샵트리에 내부 윤수경 기자
개포동 더샵트리에 내부
윤수경 기자
이날 서리협은 정부가 재건축 규제를 완화하는 한편 리모델링 사업에 대해서는 오히려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과거 리모델링 단지에 1층 필로티를 추가하는 것을 두고 기존 수평증축으로 판단하던 것을 지난해 10월부터 해석을 달리해 수직증축으로 간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류지택 서리협 부회장은 “3개층을 올리는 수직증축과 필로티 적용 수평증축은 아예 다른 공법인데 규제가 강화됐다”라며 “수평증축이 1차 안전진단만 받으면 되는 것과 달리 수직증축은 1·2차 안전성 검토 및 2차 안전진단까지 추가로 받아야 한다. 비용과 시간이 더 걸리는데 갑작스러운 방침으로 설계가 이미 진행된 단지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개포동 더샵트리에 문주 윤수경 기자
개포동 더샵트리에 문주
윤수경 기자
실제로 더샵트리에의 경우 1층을 필로티로 하고 최상층 1개 층을 추가했지만, 수평증축 리모델링 방식을 적용받았다.

이병윤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장, 청량중학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준공식 참석

이병윤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장(국민의힘, 동대문구1)이 22일 청량중학교(동대문구 왕산로 301)에서 열린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민간투자사업(BTL) 준공식’에 참석했다. 청량중학교(교장 박태인)는 1951년 개교 후 70여년만인 지난 2021년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 대상학교로 지정된 이후 다양한 교육과정 변화와 학생들의 요구 등을 통한 창의적인 설계를 반영하여 2023년 7월~2025년 7월 약 2년에 걸쳐 교사동 신축, 인조잔디 운동장 조성 등 약 1만 3246.28㎡ 규모로 공사를 준공하게 됐다. 이날 준공식에는 서울시의회 이병윤 교통위원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정근식 교육감, 이필형 동대문구청장과 청량중 교장 및 학부모, 학생, BTL 시행사 등이 참석했으며 준공건물 시설탐방, 준공식, 테이프 커팅식 등 기념행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 위원장은 준공식 축사를 통해 “서울시 최초로 추진된 청량중학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BTL 사업 공사 과정에서 교장 선생님 이하 교직원, 학생, 학부모 협조 등을 통해 사업이 원만히 마무리됐다는 점에 감사드린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 위원장은 “서울시의회 차원에서도 동대문구의 노후화된 학교시설을 개
thumbnail - 이병윤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장, 청량중학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준공식 참석

서정태 서리협 회장은 “리모델링 추진 관련 법 제정 등 대통령 공약을 지켜달라는 내용으로 지난달(1월) 대통령실에 공문을 보냈다”며 “한 달 정도 지나 회신을 받았으나, 알멩이가 없는 대답만 돌아왔다”고 성토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