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4>당진 농기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14>당진 농기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입력 2015-04-16 17:50
수정 2015-04-24 09: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역동적 위용 간직한 ‘마을의 상징’

농기(農旗)란 농촌에서 한 마을을 대표하고 상징하는 깃발이다. 풍년을 빌기 위해 동제를 지내거나 두레 때 마을의 상징으로 농기를 세워두며, 이웃 마을과 화합 또는 싸울 때에도 농기를 내세운다. 두렛일을 할 때는 깃발을 옮겨 가며 풍물을 치고 모심기와 논매기를 한다. 농기는 흰색의 천에다 먹 글씨로 ‘農者天下之大本’(농자천하지대본)이라고 쓰거나 용(龍)만 기폭에 가득 차도록 그리기도 한다. 농기는 너비 2m, 길이 4m 정도의 장방형으로, 제작의 연간지(年干支)와 월일(月日)을 쓴다.
이미지 확대
①


깃발의 깃대에 닿는 부분을 제외한 세 면에는 지네발이라 하여 하얗거나 까만 헝겊을 삼각형으로 만들어 마치 톱니처럼 여러 개 붙인다. 그러나 지네발이 아니라 용의 지느러미로 깃발 자체가 용임을 나타낸 것이다. 깃대는 길이 10m가량의 대나무이다. 농기의 수명은 대체로 15년 내외여서 남아 있는 농기가 거의 없다. 동제나 두레 때 벌어지는 성대한 놀음판에 농기를 들고 갔는데, 이때 제일 앞에 세웠다.

농업을 천하의 근본이라 여겨온 우리 오랜 역사에 기념비적인 농기가 사라져 간 것은 슬픈 일이다. 그러고 보니 농기를 실제로 본 사람이 없다. 농업박물관에 몇 폭 있지만 너무 커서 전시를 할 수 없다.

5년 전 농업박물관에서 농기를 보고 깜짝 놀랐다. 깃발의 크기도 엄청나게 컸지만 깃발에 그려진 용의 모습이 가지각색이어서 흥미를 느끼며 농업박물관 강당에서 농기에 대한 강연을 한 적이 있었다. 아마도 농기에 대한 최초의 강연이었으리라. 그러니 논문이 있었을 리 없다. 필자는 ‘월간 민화’ 2015년 1월호와 2월호에 농기 두 점을 분석한 논문을 실은 적이 있다. 농기를 다룬 최초의 글이라 생각한다. KBS가 발굴한 당진 농기를 입수하여 보니 용 그림이 압권이었다. 이 글에서 처음으로 공개한다.(①)


흔히 농기에는 용을 그리고 나머지 여백을 영기문으로 채우는 것이 보통이다. 물론 모두가 구름이라고 말하지만 용 한 분을 크게 그리고 영기문으로 가득 채워 우주에 충만한 대생명력을 나타내려 했던 것 같다. 즉, 용의 영기화생이다. 용의 입에서 나온 여의보주는 무량보주로 나타냈으며 길게 영기문이 뻗어 나오고 있다.(②)

용의 얼굴과 등 바로 주변에 제1영기싹을 붕긋붕긋하게 만든 영기문에서 엄청난 용의 위용이 나타난다. 눈동자는 보주이며 눈썹은 제1영기싹으로 절묘하게 만들었다. 얼굴 전면을 무량보주로 가득 채우고, 눈 바로 옆에서는 제3영기싹 영기문이 갈래 치며 길게 뻗쳐 나가고 있는데 처음 보는 영기문이다.(③, ④)

머리 뒤로는 수없는 날카로운 가시 같은 것들이 뻗쳐 나가고 있는데 그 기세가 무서울 정도다. 무량보주란 것은, 큰 보주가 있고 둘레에 작은 보주들이 둘러 있는 조형을 말하는데 이것이 ‘무량한 보주’가 아닌 ‘무량보주’임을 필자가 처음 증명해 밝혔다. 큰 보주 둘레에 비록 한 줄의 작은 보주들이 연이어 있으나, 실은 얼마든지 무한히 둘레에 보주를 표현할 수 있으나 그렇게 하면 혼란스러우므로 도안화한 것이다.(⑤) 그것을 한 단위로 해 여러 개 배치했다. 그런데 학계에서는 용의 얼굴에 얼룩이 져 있다고 반점(斑點)이라 쓰고 있다. 보주의 본질을 알지 못한 까닭이다.

각 마을을 대표하는 깃발, 그 농기에 그려진 용의 역동적 위용은 지금은 어디로 사라졌는가! 게다가 용의 본질마저 망각하였으니 민족문화가 갈 길은 뻔하다. 용을 보고도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니 앞으로도 용과 관련된 무한한 조형들을 잘못 알고 있을 수밖에 없다.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2015-04-1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