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친이(친이명박)계가 23일 국회 국토해양위에서 부결된 세종시 수정안을 본회의에 올리기 위한 서명 작업에 착수했다.
“세종시 수정안 반대”
22일 국회 국토해양위 전체회의에서 여야 의원들이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기립 찬반 투표를 하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행정부처이전 백지화를 담은 세종시법 개정안을 제출했던 임동규 의원은 이날 같은 당 의원 15명으로부터 본회의 부의요구서 서명을 받았다.
서명자는 안경률, 원유철, 이병석, 권경석, 김정훈, 나성린, 박상은, 배은희 안형환, 원희목, 이군현, 신지호, 조해진, 차명진, 조해진 의원 등이다.
이들은 본회의 표결을 통해 전체 의원의 찬반 입장을 묻고 역사의 기록으로 남기자는 입장이다.
친이계는 이날 중 부의요구서 제출에 필요한 의원 30명의 서명작업을 완료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서명자를 40-50명 수준으로 늘려 28일 본회의에 부의요구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세종시 문제는 국가백년 대계를 내다보고 판단해야 한다”며 “국회법 87조에 상임위 부결법안에 대한 본회의 부의 절차가 보장돼있는 만큼 국회법에 따라 수정안을 처리하면 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친이계 일각에선 수정안을 본회의에 부의하면 친이.친박(친박근혜)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며 부정적 견해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일부 의원은 서명작업에도 동참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김영우 의원은 “수정안을 본회의에 올리면 친이.친박 싸움으로 국민에게 비친다”며 “역사와의 대화도 중요하나 지금은 국민과의 소통, 국민통합에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특히 친박(친박근혜)계는 수정안 부의에 대해 ‘오기정치’라고 비판하면서 본회의 부의시 참석해 부결시킨다는 방침이다.
한 친박 의원은 “역사의 기록 운운하면서 본회의에서 표결하자는 주장은 ‘한나라당이 여전히 오만하다’는 인상만 국민에게 심어줄 수 있다”고 말했다.
소장 쇄신파 의원들도 비판에 가세했다. 일각에서는 의원총회를 소집해 본회의 부의 절차의 적정성을 따져봐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초선쇄신모임 소속 김성식 의원은 “국민을 이기려 해선 안된다”며 “본회의에 수정안을 상정하지 않는 게 친이계 스스로의 진정성을 알리는 길”이라고 밝혔다.
중도성향 4선의 남경필 의원도 “상임위 표결로 끝나는 것처럼 했다가 다시 본회의에 부의한다는 것은 당당하지 못한 일”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22일 국회 국토해양위 전체회의에서 여야 의원들이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기립 찬반 투표를 하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세종시 수정안 반대”
22일 국회 국토해양위 전체회의에서 여야 의원들이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기립 찬반 투표를 하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22일 국회 국토해양위 전체회의에서 여야 의원들이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기립 찬반 투표를 하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행정부처이전 백지화를 담은 세종시법 개정안을 제출했던 임동규 의원은 이날 같은 당 의원 15명으로부터 본회의 부의요구서 서명을 받았다.
서명자는 안경률, 원유철, 이병석, 권경석, 김정훈, 나성린, 박상은, 배은희 안형환, 원희목, 이군현, 신지호, 조해진, 차명진, 조해진 의원 등이다.
이들은 본회의 표결을 통해 전체 의원의 찬반 입장을 묻고 역사의 기록으로 남기자는 입장이다.
친이계는 이날 중 부의요구서 제출에 필요한 의원 30명의 서명작업을 완료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서명자를 40-50명 수준으로 늘려 28일 본회의에 부의요구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세종시 문제는 국가백년 대계를 내다보고 판단해야 한다”며 “국회법 87조에 상임위 부결법안에 대한 본회의 부의 절차가 보장돼있는 만큼 국회법에 따라 수정안을 처리하면 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친이계 일각에선 수정안을 본회의에 부의하면 친이.친박(친박근혜)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며 부정적 견해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일부 의원은 서명작업에도 동참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김영우 의원은 “수정안을 본회의에 올리면 친이.친박 싸움으로 국민에게 비친다”며 “역사와의 대화도 중요하나 지금은 국민과의 소통, 국민통합에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특히 친박(친박근혜)계는 수정안 부의에 대해 ‘오기정치’라고 비판하면서 본회의 부의시 참석해 부결시킨다는 방침이다.
한 친박 의원은 “역사의 기록 운운하면서 본회의에서 표결하자는 주장은 ‘한나라당이 여전히 오만하다’는 인상만 국민에게 심어줄 수 있다”고 말했다.
소장 쇄신파 의원들도 비판에 가세했다. 일각에서는 의원총회를 소집해 본회의 부의 절차의 적정성을 따져봐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초선쇄신모임 소속 김성식 의원은 “국민을 이기려 해선 안된다”며 “본회의에 수정안을 상정하지 않는 게 친이계 스스로의 진정성을 알리는 길”이라고 밝혔다.
중도성향 4선의 남경필 의원도 “상임위 표결로 끝나는 것처럼 했다가 다시 본회의에 부의한다는 것은 당당하지 못한 일”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