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대표, 노 전대통령 사진전서 ‘노무현가치’ 역설
2007년 3월 노무현 전 대통령은 국무회의 모두 발언에서 정치 지도자의 덕목을 강조했다. 노 전 대통령은 “경선에 불리하다고 탈당하는 사람은 정치인 자격이 없다. 보따리 장수같이 정치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보따리 장수’는 한나라당을 탈당한 손학규 전 경기지사를 가리킨다. 이 말을 전해 들은 당시 손 전 지사는 “정치평론은 그만하고 민생에만 전념해 주길 바란다. 무능한 진보는 바로 노 대통령”이라고 맞받았다.
연합뉴스
“한잔 올립니다”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12일 서울 인사동 서울갤러리에서 열린 노무현 전 대통령 2주기 추모 전시회에서 그림 속의 노 전 대통령에게 막걸리를 따르는 포즈를 취하며 웃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손학규 민주당 대표와 친노 진영의 구원은 이처럼 켜켜이 쌓인 지층과 같았다.
그러나 4년여의 세월이 흐른 지금 두 정치 세력은 서서히 거리를 좁혀 가고 있다. 지난해 민주당 전당대회와 4·27 재·보선을 넘으면서다.
손 대표가 전당대회에서 호남의 전략적 지지를 받은 것, 재·보선 분당 출마로 부자와 서민의 대결 구도에 정면도전한 것을 ‘노무현 정신’으로 이해하려는 분위기가 있다. 호남당을 탈피해 전국 정당을 모색하는 시도도 마찬가지다 .
12일 노 전 대통령 서거 2주기 추모 사진전이 열린 서울 인사동 서울미술관에서 손 대표는 한 장의 사진 앞에 섰다. 시장통에서 장기를 두는 한 중년 남성 곁에 앉아 노 전 대통령이 훈수를 두는 사진이었다.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전시회를 통해 원칙과 상식이 통하는 사회를 꿈꾸었던 정치인 노무현의 꿈과 가치를 돌아보자.”고 말했다. 그러자 손 대표는 “사람 냄새 나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 바로 노무현의 가치”라고 화답했다.
2008년 1월 각각 대통령 비서실장과 통합민주당 대표로 어색하게 만난 이후 오랜만에 온기를 나눈 자리였다.
최근 친노 진영은 ‘친노를 넘어서’라는 화두를 붙들고 있다. 지도자를 바라보는 관점으로 국한하면 “지도자를 잃은 마당에 다음 지도자는 노무현 정신을 이어 가는 사람이면 된다.”는 입장이다.
친노 측이 비판적 학자그룹과 함께 ‘노무현 정신’의 계승점과 보완점을 정리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친노 핵심 관계자는 “손 대표가 정책적으로 동반성장과 균형발전을 이어 가고, 통합과 연대 과정에서 기꺼이 내던지는 모습을 보인다면 한길을 갈 수 있다.”고 말했다.
구혜영기자 koohy@seoul.co.kr
2011-05-13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