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체육계 핵심 인사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남북 공동 개최안에 대해 “그렇게 되길 바란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미지 확대
장웅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장웅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 연합뉴스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총회 참석차 일본에 입국한 북한의 장 웅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은 13일 오전 나리타(成田)공항에서 평창이 동계올림픽을 유치한 데 대한 소감을 묻는 연합뉴스의 질문에 “동계올림픽이 아시아에서 개최되는 것은 좋은 일”이라며 “(남북 공동 개최는) 그렇게 되길 원한다”고 답변했다.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가 확정된 뒤 북한이 남북 공동 개최안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내놓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장 위원은 평창이 세번째 도전 끝에 동계올림픽을 유치한 데 대해 “동정표가 많았다고 생각한다”며 “(평창과 경쟁한) 유럽의 도시들은 2022년 올림픽 유치가 목적이었던 것 같다”고 나름대로 분석한 뒤 “동계올림픽이 아시아로 오는 것은 좋은 일”이라고 덧붙였다.
장 위원은 또 동계올림픽 남북 공동 개최 주장에 대해 “I hope so(그렇게 되길 원한다)”고 영어로 답변한 뒤 “남북간 정치적·군사적 상황이 안 좋은데 그것을 개선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올림픽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이 2020년 도쿄 하계올림픽 개최를 추진하는 데 대해서는 “일본이 올림픽을 개최하려면 마음을 넓게 가져야 한다”고 답변했고, 일본이 북한 국적자의 입국 비자를 약 5년 만에 발급한 데 대해 “우리는 IOC 회원이고, 올림픽 운동에는 국경이 없다”며 “일본에 오는 게 특권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는 (일본에) 올 수 있고, 그게 규칙이다. 일본은 비자를 발급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장 위원은 이날 모든 답변을 영어로 했지만 김연아의 프레젠테이션에 대해 묻자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도 본 적이 있다”며 “(프레젠테이션을) 잘하더라”라고 우리말로 대답했다.
장 위원은 11일 먼저 입국한 손광호 조선올림픽위원회 부위원장 등과 합류한 뒤 14일 도쿄 시내에서 열리는 OCA 총회에 참석할 예정이다. 일본은 2006년 10월 북한 국적자의 일본 입국을 금지하는 제재를 가한 뒤 약 5년 만에 장 위원과 손 부위원장 등 북한 국적자 5명에 대해 11∼15일 닷새간 유효한 비자를 발급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