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방위 전체회의 출석해 답변

연합뉴스
질의에 답하는 정경두 장관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0.6.22
연합뉴스
연합뉴스
정 장관은 22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김여정 부부장이 군 통치권도 행사하는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군사적 전문 지식(을 활용한 역할)보다는 2인자로서 실질적인 역할을 하면서 임무를 분담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분석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직접 나서지 않고 여동생인 김여정 부부장을 내세운 배경에 대해선 “실질적 악역은 밑에서 담당하고, 나중에 최종적 남북관계 개선이나 북미관계 개선 등 정책적 변화가 올 때 김정은 위원장 이름으로 나서서 위상을 더 확고히 하겠다는 부분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북한의 추가 도발에 신속히 대응”북한이 개성공단 등에 군을 주둔시키겠다고 한 것에 대해서는 “(군대 철수 당시) 빠져나간 부대 중에는 전차 부대, 포부대 등이 있는데, 세부적으로 이 자리에서 말할 수는 없지만, (북한군의 주둔) 내용을 다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추가적인 도발 가능성에 대해 묻자 정 장관은 “북한이 도발하면 즉각적이며 신속하게 상응한 대응 조치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정 장관은 북한의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가능성을 묻는 말에는 “북한이 군사활동 중인 것을 확인하고 있다”고 했다.
SLBM을 발사할 수 있는 신형 잠수함 개발 여부에 대해서는 “개발이 완료됐다고 하기는 부적절하다. 상당 부분 근접했지만, 완성이 됐다고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북한이 서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ICBM을 발사할 징후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당장 징후는 없지만, 가능성을 열어두고 주시하는 중”이라며 동창리 발사장의 복구 가능성에 대해서는 “당장이라도 마음을 먹으면 (복구)할 수 있다”고 답했다.
8월에 예정된 한미 군사훈련의 연기 가능성에 대해서는 “코로나19의 영향도 있고 전시작전권 전환 일정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