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설 화법, 지지층과의 충돌도 개의치 않아

지난 6월 광주에서 만난 더민주 김종인 대표와 손학규 전 고문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대표(오른쪽)와 손학규 전 상임고문이 23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광주세계웹콘텐츠페스티벌 개막식에 참석해 손을 잡고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16.6.23 연합뉴스
그는 기존 야권의 전략과는 반대로 움직였다. 더민주의 한 당직자는 “과거 지도부는 한겨레, 경향신문 등이 써준 대로 선거를 치뤘는데, 김 대표는 전혀 반대의 길을 갔다”고 회상했다.
더민주 대표직 7개월 동안 김 대표가 남긴 발언들을 살펴봤다.
“추호도 없어!”
김 대표는 온라인에서 ‘경제 할배’이기 전에 ‘추호 영감’이었다. 비례대표설이 나돌 때 “비례대표 욕심 추호도 없다”, “그 따위로 대접하는 정당서 일할 생각 추호도 없다”고 했고, 당권 추대론이 나오자 “당 대표를 할 생각, 추호도 없다”고 했다. 취재진들은 기사화되지 않는 발언 가운데에서도 “추호도 없다”는 말을 자주 들을 수 있었다.
과거 당 대표들의 애매모호한 화법과 비교하면 김 대표는 직설적이고 의사표시가 분명한 점이 특징이다.
“낭떠러지에서 구해놨더니”
김 대표의 ‘공’은 두말할 것도 없이 총선 승리였지만, 한편에서는 호남 패배 등에 대한 책임론도 불거졌다. 책임론에 대한 김 대표의 반론은 “내가 당이 낭떠러지에서 떨어지는 걸 구해준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였다.
문재인 전 대표가 취재진에게 자신이 김 대표에게 “당 대표를 하면 상처를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하자, 김 대표는 그런 말은 금시초문이라며 “낭떠러지에서 떨어지려는 것을 구해놨더니 문 전 대표와 친문이라는 사람들이 이제 와서 엉뚱한 생각을 한다”고도 비난하기도 했다.
“정체성이 뭐냐”
“일관성이 밥 먹여주나. 정체성, 정체성 하는데, 막상 정체성이 무엇이냐고 물어보면 제대로 대답하는 사람도 없다.”
김 대표는 당 정체성 논란이 일어날 때 “정체성이 대체 뭐냐”는 말을 자주 했다. 최근 사드 논란, 당령의 ‘노동자 문구 삭제’ 논란 등에서도 그의 생각은 확고하다. “정체성에 매달려선 영원히 집권 못한다.”
“경제 구조 틀 바꿔야”
당내 문제 관련 발언이 주목을 받았지만, 김 대표는 사실 대부분 발언을 경제에 할애했다. “경제 구조의 틀을 바꿔야 한다.”, “대기업 위주 경제운영 패턴을 바꾸겠다” 등등 오히려 너무 자주, 같은 얘기를 하다보니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가 평생의 트레이드마크인 ‘경제민주화’를 야권에서 실현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눈높이를 맞출 대권주자도 아직 찾지 못한 모습이다. 김 대표는 26일 라디오에서 “그런 분야(경제)에 대해서 특별한 조예를 가지고서 얘기하는 분이 별로 없다”고 말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