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울릉도에 해병대 전투병력 배치 추진한다… ‘대북 압박효과’

軍, 울릉도에 해병대 전투병력 배치 추진한다… ‘대북 압박효과’

입력 2015-11-05 15:05
수정 2015-11-05 15: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주부대 창설 이어 U자형 방어선 지키는 전략도서방어司 구상독도 수호 의지 재확인’외부세력 독도 장악시도’ 경고 의미도중대급 규모…”울릉도 연안 방어와 재난 대응·주민 보호 임무”

군이 울릉도에 해병대 전투병력 배치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병대가 울릉도에 주둔하면 서북도서와 제주도, 울릉도를 잇는 ‘U’자형 전략도서 방어체계가 구축된다.

군 관계자는 5일 “연안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울릉도에 중대급 규모의 해병대 전투병력을 배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울릉도에 주둔하는 해병대는 신속기동부대로서 전략도서인 울릉도를 방어하고 재난 대응과 주민 보호 임무도 수행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부대는 상륙돌격장갑차(KAAV)를 비롯해 해병대 작전에 필요한 기본 무기를 모두 갖추게 된다.

현재 울릉도에는 해병대 소령급 장교가 이끄는 예비군관리대가 있어 지역 방어, 향방 예비군 훈련 등을 하지만 해병대 전투병력은 없다.

서해에서는 북방한계선(NLL)과 인접한 서북도서에 해병대가 배치돼 있지만 동해의 경우 NLL과 멀리 떨어진 경북 포항에 해병대 1사단이 주둔하고 있다.

해병대가 울릉도에 전투병력을 전진 배치하는 것은 북한을 압박하는 효과가 상당히 클 것으로 보인다. 유사시 동·서해 양면에서 해안을 따라 북한에 침투해 중심부로 진격할 수 있는 태세가 갖춰지기 때문이다.

울릉도가 독도와 약 90㎞ 떨어져 있다는 점에서 해병대의 울릉도 주둔은 우리 영토인 독도에 대한 수호 의지를 확고히 하고 ‘외부 세력’의 독도 장악 시도에 대해서도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던지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병대 전투병력의 울릉도 배치 계획은 해병대의 ‘전략도서방어사령부’ 창설 계획과 맞물려 추진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서북도서방위사령부를 겸하는 해병대사령부는 다음달 1일 제주도 제9해병여단(제주부대) 창설에 이어 울릉도에 전투병력을 배치함으로써 전략도서방어사령부로 개편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서북도서의 백령도와 제주도, 울릉도 등 3개 전략적 거점을 U자형으로 잇는 방어선을 지키는 최일선 부대로 해병대를 변모시킨다는 것이다.

해병대는 2020년대에 전략도서방어사령부를 출범시킬 계획이다. 기존 서북도서방위사령부는 전략도서방어사령부에 흡수된다.

전략도서방어사령부는 울릉도를 포함한 3개 거점을 전략도서 방어기지로 활용하면서 신속기동부대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공세적 전진기지로 쓸 것으로 보인다.

해병대는 제주도 제9해병여단의 경우 상륙기동헬기를 운용하도록 함으로써 작전 반경을 확대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해병대는 강한 타격력을 갖춘 신속기동부대로서 한반도를 둘러싼 3면 바다의 최전선에서 국익을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